PMBOK, 프로젝트 성공의 필수조건 … DCF에 리스크 파악도
화학저널 2017.05.15
화학기업들은 연구개발 성과를 프로젝트화하기 위해서 사업타당성을 조사하고 의사를 결정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사업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면 수익 창출 여부와 매출액, 인건비, 세금 등을 예측할 수 있고 감도분석을 통해 리스크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업타당성 조사에서는 내부이자율(IRR: Internal Rate of Return)이 수퍼센트 이하이면 투자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며, 결과가 좋게 나타났을 때도 투자 권한 보유자가 책임을 지고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프로젝트매니지먼트협회(PMI)가 발행하는 PMBOK(프로젝트 관리 지식체계) 5판은 명확한 시작과 끝을 지니는 유기성, 반복하지 않는 독자성, 프로젝트의 진행으로 세부내용을 구체화하는 단계적 상세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매니지먼트가 필수불가결하며 시작할 때 프로젝트 매니저를 임명하고 제약조건(Constraint), 전제조건(Assumption), 요구사항(Requirement)을 명확히 설정해 업무범위(Scope), 시간(Time), 코스트(Cost)를 계획하고 리스크(Risk)를 검토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프로젝트 매니저는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문서화하고 유연하고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며 모든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충족시키는 자세가 요구된다.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판단될 때는 고객의 승인을 받고 계획을 변경해야 하며 중대한 사항을 변경할 때에는 프로젝트 중단도 검토해야 한다.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는 건설, IT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PMBOK를 활용하고 있다.
다만, 연구개발은 PMBOK 가이드 내용을 전부 시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필요한 사고방식과 툴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배경, 업무범위, 기간, 예산 등 중요사항을 기재하는 프로젝트 헌장(Project Charter) 작성 및 권한을 가진 프로젝트 매니저 임명 등 2가지는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
연구개발이 성과를 거두면 사업화했을 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사업타당성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사업타당성 조사는 앞으로 예상되는 연도별 손익을 계산하고 수익(Cash in)과 투자액(Cash Out)을 비교함으로써 채산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손익 계산을 일반 회계처럼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무의미하기 때문에 불확정 요소가 크다는 점을 이해하고 최대한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연도가 다른 수익은 주로 DCF(Discount Cashi Flow) 방법을 기준으로 IRR을 계산한다.
수용성 폴리머 5000톤 생산설비(고형분 25wt%), 투자액 6억6700만엔, 판매단가 kg당 135엔, 총 변동비 kg당 72엔, 감가상각 정률 25% 상각, 실효세율 40%를 가정했을 때 투자기간 10년 동안의 IRR은 14.1%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준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IRR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원료가격, 용역비, 폐기물처리비용 등 변동비와 감가상각비, 수선비, 인건비 등 고정비를 설정해야 한다.
실험실은 품질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어 불필요한 프로세스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스케일 업을 상정한 스케일 다운 실험을 통해 회수공정 및 폐기 프로세스를 포함한 전체 프로세스를 최적화해 물질 수지 및 에너지 수지를 계산해야 한다.
수지에서 원단위를 구할 수 있고 단가를 곱함으로써 변동비를 계산할 수 있으며, 고정비는 주로 설비투자액을 어림셈해 감가상각비, 수선비, 인건비를 추산한다.
설비투자액을 어림셈하기 위해 물질 수지, 에너지 수지에서 프로세스 개략 설계, 유틸리티 개략 설계를 실시해 설비 견적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기기사양을 결정하고 플랜트 전체의 설비투자액을 대략적으로 계산해야 한다.
해당 작업은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실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사의 생산기술 부문 혹은 엔지니어링 부문에 의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스크는 전제조건에 차질이 생겼을 때 현재화하기 때문에 전제조건을 인식하고 리스크를 특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 리스크는 리스크 발생확률과 리스크 영향도에 따라 발생 확률, 영향도 매트릭스를 작성해 리스크 대응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스크 발생 확률은 데이터가 없고 정성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스크 영향도는 감도분석(Sensitive Analysis)을 통해 어느 정도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나 기자>

표, 그래프: <시나리오별 생산량 설정, 코스트에 미치는 변동요인 영향, IRR과 지표 기준감도 분석, 표준 시나리오의 IRR 계산 예시>
<화학저널 2017년 5월 15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