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촉매 중심 스페셜티 사업 강화 … 2025년 중국 판매비중 50%로
클라리언트(Clariant)가 중국 투자를 확대한다.
클라리언트는 현재까지 중국에 3개 공장을 건설했으며 2025년까지 추가 신증설 투자를 진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 판매하는 화학제품 중 현지 생산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을 2022년 39%에서 2025년 50%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수소 정제, 페플래스틱 재생유 생산에 사용하는 촉매 등 이산화탄소(CO2) 감축 기여제품을 중심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클라리언트는 2021년 저장성(Zhejiang) 타이싱시(Taixing)에 PDH(Propane Dehydrogenation)용 촉매 공장을 건설했고 이어서 광둥성(Guangdong)에 수지용 난연제와 케어케미칼 관련제품 공장을 건설하는 등 중국 투자를 적극화하고 있다.
2025년까지 중국에 전체 투자액의 30%를 투입할 방침이며 매년 설비투자 중 3분의 2는 신증설에, 3분의 1은 유지보수에 투입할 계획이다.
2022년 중국사업 매출은 5억7200만S프랑으로 전년대비 23.0% 증가했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 수준이나 2025년까지 신증설 투자를 통해 14%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클라리언트는 중국이 세계 최대의 스페셜티 화학제품 시장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은 글로벌 스페셜티 화학제품 시장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5년 동안 전체 시장 성장률 중 50%는 중국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클라리언트는 중국의 성장세가 전망치보다 더 가파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촉매 사업에 기대를 걸고 있다.
촉매 사업은 2022년 매출이 9억8900만S프랑으로 에틸렌(Ethylene), 프로필렌(Propylene), PP(Polypropylene) 분야에서 각각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타이싱 PDH용 촉매 공장은 자동차부품과 마스크, 식품포장에 널리 사용되는 PP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건설한 것으로, 글로벌 PP 수요는 최근 10년 동안 NCC(Naphtha Cracking Center) 신증설을 타고 프로필렌 생산능력이 추가되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프로판(Propane)을 원료로 프로필렌을 생산하는 PDH와 유동접촉분해(FCC) 장치, 에틸렌과 부텐(Butene)을 원료로 프로필렌을 생산하는 메타세시스(Metathesys), MTO(Methanol to Olefin) 프로세스에서 목적생산되는 프로필렌 수요는 과거 10년 동안 연평균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목적생산 프로필렌 생산량은 세계적으로 2022년 기준 5000만톤에 달했고 2030년에는 7000만톤으로 대폭 증가하고 목적생산 프로필렌 생산량 가운데 50% 이상이 중국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클라리언트가 공급하는 PDH용 촉매는 미국 러머스(Lummus Technology)의 PDH 프로세스에 최적화돼 있으며 2017년부터 세계적으로 38기의 PDH 설비에 채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프로필렌 생산능력으로 환산하면 2500만톤에 달하며 38기 중 27기는 중국에 건설됐다.
최근 프로판 가격이 급등하며 PDH에서 생산되는 프로필렌의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됐으나 클라리언트는 PDH 투자가 장기간 계속되면서 타이싱 공장이 호조를 누릴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타이싱 공장은 추가 투자를 위한 부지를 확보한 상태이며, PDH용 촉매는 이미 풀가동에 가까울 정도로 가동률이 높고 다른 촉매를 함께 생산하는 방향으로 증설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클라리언트는 수소와 암모니아(Ammonia), 메탄올(Methanol) 제조용 촉매도 각각 글로벌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소와 관련해서는 MCH(Methyl Cyclohexane), 암모니아 등 액체 유기 수소 캐리어(LOHCs)로 전환하기 위한 촉매를 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에서 그린수소 수요가 증가하며 사업 기회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폐플래스틱 CR(Chemical Recycle)에 사용하는 촉매도 잠재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클라리언트는 폐플래스틱 재생유 정제에 사용하는 흡착 소재와 재생유 수소화 처리용 촉매를 조합해 재생유에서 금속과 염소를 제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혼합 플래스틱에 PVC(Polyvinyl Chloride)가 포함돼 있으면 리사이클을 위해 탈염화 프로세스가 필요하나 클라리언트 기술을 활용하면 재생 프로세스에서 효율적인 염소 제거가 가능하고 재생유 품질을 높일 수 있어 리사이클 전에 철저한 분리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