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박진수)이 ESS(Energy Storage System)용 배터리 사업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LG화학은 LG CNS가 최근 괌 전력청(GPA)과 체결한 40MW급 ESS 시스템 구축 수주계약에 따라 리튬폴리머 ESS 전용 배터리를 공급할 계획이다.
LG CNS는 괌 Agana 변전소에 전력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주파수 조정(FR)용 24MW급 ESS와 Talafofo 변전소에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공급을 안정화시키는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RI)용 16MW급 ESS 등 2개의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사업비가 총 4300만달러(한화 약 480억원)에 달해 국내기업의 ESS 수출 성과로는 최대규모이며 2018년 5월 공사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괌 전역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ESS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으로 LG CNS는 ESS 시스템 구축과 함께 25년간 운영 및 유지보수를 맡게 된다.
하태석 LG CNS 스마트에너지사업부장 상무는 “괌 ESS 사업은 괌 전력청의 1단계 사업으로 향후 추가 사업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됐다”며 “국내에서 다양한 사업을 통해 꾸준하게 솔루션을 개발해온 LG CNS의 역량과 LG화학의 ESS 배터리 역량이 시너지를 거둔 성과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은 중국의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 관련 리스크 확산으로 전기자동차(EV)용 LiB(Lithium-ion Battery) 사업 진전에 어려움을 겪자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ESS용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세계 1위 ESS 전문기업인 AES가 구축하는 전력망용 ESS 프로젝트에 수GWh를 공급할 예정이며 우선 1GWh부터 공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북미 최대 인버터 생산기업인 Solar Edge와 함께 미국 가정용 ESS 시장에도 진출했으며 2016년 글로벌 공급량이 총 588MW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생산능력을 2015년 293MWh에서 2016년 591MWh로 확대해 시장점유율을 18%에서 21%로 높였으며 2016년 10월부터 중국 Nanjing 공장에서 No.2 ESS 라인을 건설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