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보조금 규제 리스크가 해소됐으나 직접적인 수혜를 입기까지 상당기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배터리 생산기업에 대한 모범규준 인증과 전기자동차(EV) 보조금 지급을 연계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2016년 4월부터 모범규준 인증과 EV 보조금을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함에 따라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기업들은 중국 시장의 잠재력이 높다는 판단 아래 2015년 말 현지에 배터리 공장을 완공했으며 2016년 수차례에 걸쳐 모범규준 인증을 받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으나 생산능력 기준이 지나치게 높아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공업정보화부는 EV용 LiB(Lithium-ion Battery) 생산기업의 생산능력 인증기준을 80억Wh 이상으로 기존 2억Wh보다 40배 가량 상향조정했으며 해당 기준을 충족시키는 곳이 BYD,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등 현지기업밖에 없어 편파성 논란이 불거졌다.
국내기업들은 EV 보조금 지급 리스트에서도 철저히 배제돼왔다.
LG화학의 배터리를 탑재한 Dongfeng Motor의 전기트럭, 상하이GM(제너럴모터스)의 캐딜락 하이브리드, 상하이자동차(SAIC)의 Roewe 하이브리드 2개 모델 등 4종과 삼성SDI의 배터리를 탑재한 Shaanxi Automobile의 전기트럭 등이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는 LG화학 배터리를 탑재할 예정이었던 쏘나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의 중국 출시를 미루고 배터리 공급기업을 CATL로 변경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방침 변경으로 LG화학, 삼성SDI 등 모범규준 인증을 받지 못한 곳의 배터리를 채용한 EV도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다만, 실질적인 수혜를 누리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내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밀려난 사이 기존 거래처들이 계약을 파기하고 CATL 등 중국기업과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시장장악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EV는 배터리 등 탑재 조건을 바꾸어 새로 개발하려면 최소 2년 정도 걸리는 만큼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이 시장에 재진입해도 직접적인 수혜를 입는 것은 2019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