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박진수)은 ESS(Energy Storage System) 생산체제에 차질이 발생해 발전 사업자들이 대규모 손실 위기해 놓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글로벌 ESS 시장 선점을 명분으로 내수시장 확대 정책을 요구해왔으나 각종 정책 지원이 현실화되자 사전 예고 없이 정부 금융지원 발전 사업 프로젝트에 물량을 공급하지 못한다고 통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LG화학은 최근 태양광 연계 ESS 사업과 관련해 정부 신산업 정책 금융자금을 받기로 한 사업자에게 10월까지 ESS를 공급할 수 없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REC(신재생공급인증서) 가중치 5.0 우대 조건을 받기 위해 정부에 융자를 신청하고 배터리 납품 및 시공만 기다리던 다수 프로젝트들은 약정 이행이 불가능한 사업으로 분류돼 금융지원이 취소되며 유사 융자 지원 사업 신청이 제한되는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
당초 해당 프로젝트들이 정상적으로 완료되기 위해서는 6월 말 이전에 전기 사용 전 검사까지 마쳐야 한다.
그러나 LG화학의 통보대로 물량을 확보하지 못해 사업이 취소되면 후순위 융자 신청기업에게 자격이 넘어가 사업기회 박탈에 따른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다.
현재 발전사업자는 시공기업과, 시공기업은 ESS 생산기업과 각각 계약을 체결하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ESS 생산기업이 납기를 지키지 않아 사업이 최종 취소되면 계약 단계별로 줄소송이 불가피하다.
한편, 발전기업들은 LG화학의 ESS 공장에 중대한 생산차질 사유가 발생한 것 아니냐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LG화학은 ESS 양산능력 및 정상 가동여부, 가동률 등에 대한 대외공개는 어렵다며 점진적으로 이용률을 끌어올릴 계획이라는 입장만 내세우고 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