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린은 국제 가격이 반전 상승하고 있다.
주산지인 중국에서는 환경 정책에 따라 화학공장에 대한 조업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수급밸런스가 타이트해졌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에는 2017년 초 공급 타이트 시기 수준에 육박하고 있으며 규제 완화 시점이 불투명하기 때문에 시황이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카린은 중국 최대의 생산능력 3만톤을 보유하고 있는 국영기업이 2015년 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감산을 실시함에 따라 공급이 부족해져 2017년 초부터 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생산능력 2위인 민간기업이 2017년 안에 생산능력을 2만톤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하자 국영기업이 구정 이후 갑자기 풀가동을 재가동하며 민간기업에 대한 견제와 난립하는 중소기업의 도태를 위해 의도적으로 가격 인하에 나섰다.
이후 정부가 환경보호부 산하의 조사단을 전국 화학단지에 파견해 환경오염 대책을 실시하고 있는지 조사하는 사찰이 시작되자 폐수처리 기준 등이 미달임에도 불구하고 불법 조업을 지속해온 중소기업이 시장에서 완전히 퇴출돼 수급이 다시 타이트해졌다.
2017년 초부터 30% 정도 하락한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돼 최근에는 2017년 초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사카린 세계 수요가 3만톤 가량이며 치약용을 중심으로 매년 신장하고 있다.
냉각반응이 필요한 성질을 보유하고 있어 동남아시아 등의 온난한 지역에서는 제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중국 이외에서 조달하기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화학공장의 사찰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어 중소기업이 도태하며 공급과잉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