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화학기업들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산업용 전기요금은 정부가 미세먼지 30% 감축 공약대로 2030년까지 원자력 및 석탄화력 발전비중을 70%에서 43%로 축소하는 대신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을 19%에서 37%로 확대함에 따라 약 25% 가량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책정한 용도별 전력 판매단가는 kw당 △산업용 107.11원 △주택용 121.52원 △일반용 130.41원 △교육용 111.51원으로 산업용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었다.
화학기업들은 전기가 제조코스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로 철강 등 다른 산업에 비해 높지 않지만 CA(Chlor-Alkali) 분야와 탄소섬유 등 일부 사업은 전기 사용비중이 큰 편이어서 전기요금 인상에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염소와 가성소다(Caustic Soda)는 소금물을 전기분해로 얻는 과정에서 전기요금 비중이 50%에 달해 요금인상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산업계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2000년 이후 84.2% 급등했으며 앞으로 전기요금이 인상되면 판매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수출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또 화학기업들은 최근 저렴한 전기요금을 활용하기 위해 국내에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있는 일본 등 해외기업의 투자가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한국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MWh당 94.9달러로 일본의 162.0달러에 비해 크게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기를 많이 소모하는 탄소섬유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Toray를 비롯해 Sumitomo Chemical, Mitsui Chemicals 등 화학기업들이 국내에 2018-2020년 완공을 목표로 다양한 생산설비를 대거 건설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