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이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또 탈락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9월1일 8차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추천 목록을 발표하면서 보조금 지급 대상으로 95사 273개의 새로운 전기자동차(EV) 모델을 추가했으나 국내기업이 생산한 배터리를 탑재한 EV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은 8차례에 걸쳐 184사 2538개에 달하는 모델을 목록에 포함시켰지만 국내기업 배터리를 장착한 자동차는 한대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중국 정부는 2016년부터 명확한 이유를 밝히지 않고 국내기업의 배터리를 탑재한 EV를 보조금 지급 목록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어 일부에서는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 조치 및 자국 배터리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로 받아들이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LG화학과 삼성SDI는 2016년 하반기부터 중국시장에서 EV 배터리 판매가 사실상 중단되면서 각각 Nanjing과 Xian에 구축했던 현지공장의 가동률이 한때 10% 이하로 떨어지기도 했다.
양사는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며 ESS(Energy Storage System)용과 보조금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저압 배터리, 하이브리드자동차(HEV) 배터리, 한국 수출물량 등을 집중 생산하며 가동률을 50-70%까지 회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 중국법인은 2016년 순손실이 176억원에 달했으나 가동 1년만인 2017년 1/4분기 첫 흑자를 냈고 상반기에는 순이익이 플러스 83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삼성SDI는 EV용 배터리셀을 생산하는 Xian 공장에서 상반기 순손실 191억원을, Changchun 소재 배터리 모듈 조립공장에서는 영업적자 17억원을 냈지만 유럽 수출과 ESS용 생산 확대로 2018년에는 가동률이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다만, 점차 충격에서 회복하고 있는 LG화학, 삼성SDI와 달리 함께 진출한 협력기업들은 타격이 여전하며 일부기업들은 현지에 파견한 임직원들을 국내로 복귀시키고 있다.
배터리 협력기업 관계자는 “중국 현지공장 가동률이 사드 보복 조치 이후 많이 떨어진 상태로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고 언제 풀릴지도 불투명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생산기업으로부터 구체적 정보를 얻지 못해 임직원들을 일단 귀국시킨 상태”라고 밝혔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