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섬유]

국내 폴리에스터(Polyester) 장섬유 시장은 생산 및 가공기업들이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폴리에스터 연신 및 가연 시장은 신합섬가공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대구의 중소기업이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성안합섬, TK케미칼 등 대기업은 2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DTY(Draw Textures Yarn)는 중국, 인디아, 베트남 등에서 대거 유입되면서 국내기업들의 경쟁력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무역위원회가 10년간 반덤핑 관세율은 10% 미만 부과함으로써 반덤핑 규제에도 불구하고 수입제품 유입이 지속되고 있다.
국내기업들은 반덤핑 제소를 재추진할 예정이지만 덤핑 혐의에 대한 증거가 부족해 반덤핑 강화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부는 반덤핑관세를 부과해도 수입제품 유입을 막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동참하지 않고 있다.
연신 및 가연기업들은 특수 그레이드를 중심으로 고부가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투자능력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어 국내 폴리에스터 장섬유 수요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연기업, 반덤핑 제소 의지 “상실”
국내 폴리에스터 DTY 시장은 수입제품 공세로 적자생산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2016년 말 중국·타이완·말레이지아산에 대한 반덤핑관세 부과가 철폐돼 재연장을 시도하고 있으나 생산기업 사이의 의견 조율이 어려워 지연되고 있다.
폴리에스터 DTY 시장은 TK케미칼과 성안합섬이 앞장서 반덤핑으로 제소함에 따라 2006년부터 10년간 수입제품에 반덤핑관세를 부과했다.
TK케미칼, 성안합섬, 신합섬가공사협의회 소속 가연기업 9곳 등은 2016년에도 반덤핑관세 재연장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가연기업들과의 의견 조율이 어려워 난항을 겪고 있다.
생산기업들은 국산이 사라지면 저렴하게 유입되고 있는 수입제품이 가격을 주도해 폭리를 취할 가능성을 제기하며 반덤핑관세 부과를 통해 수입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16년에는 TK케미칼과 성안합섬이 가연기업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DTY에 대한 반덤핑 제소가 가능했지만 가연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아 무산된 바 있다.
수입 관계자는 “DTY 생산기업들이 반덤핑으로 제소하기 위해서는 변호사를 선임해야 하고 관련문서 작성에도 3개월 이상 소요되지만 2017년 7월까지 변호사를 선임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다”며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가연기업들은 군소기업이 대부분이어서 기업비밀 보장이 어렵다는 이유로 반덤핑 제소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아울러 반덤핑관세를 부과해도 수입제품을 막아내기 어렵다고 판단함에 따라 제소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 관계자는 “반덤핑으로 제소하기 위해서는 생산 및 가공기업들이 원료인 POY(Partially Oriented Yarn) 구매가격과 DTY 판매가격을 공개해야 하지만 국내기업들 사이에서도 경쟁이 치열해 공개를 꺼리고 있어 대부분의 가연기업들은 참여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TK케미칼과 성안합섬은 POY 뿐만 아니라 다운스트림인 DTY도 생산하고 있는 가운데 가연기업들이 POY를 수입제품으로 대체함에 따라 2014년 POY에 반덤핑 재연장을 시도해 갈등이 고조된 것도 협력체계 구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내기업들은 DTY 시장을 유지하기 위해서 원산지 증명제도를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국내기업들은 원산지 증명제도 검증이 소홀함에 따라 국산으로 인증받은 후 중국 및 베트남산을 투입해 공급하고 있다”며 “원산지 증명제도를 단속만해도 국산 DTY 수요가 유지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트남산, 저가공세로는 게임이 안된다!
폴리에스터 섬유는 중국산에 이어 인디아 및 베트남산 수입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폴리에스터 섬유 수입은 FDY(Full Drawn Yarn), POY, DTY를 포함해 중국산, 베트남산, 인디아산이 장악하고 있으며 특히 베트남 및 인디아산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폴리에스터 DTY 수입은 2013년 6만8374톤에서 2016년 11만2794톤으로 급증했으며 2017년에는 12만톤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산 DTY 수입은 6만톤 수준으로 둔화되고 있으나 동남아 생산기업들이 중국산 POY를 수입해 DTY를 수출하고 있다.
75/36 및 75/72 그레이드는 베트남산이 주도하고 있으며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는 75/144, 150/192 그레이드 등은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
인디아산 수입은 2013년 5866톤에서 2016년 3만2058톤, 베트남산이 2685톤에서 1만3827톤으로 4-5배 폭증한 것으로 파악된다.
DTY 시장은 삼성물산, 미도교역, 솔상인터내셔날, 동진, 신택스타일, SY인더스트리 등이 수입해 윤세통상, 서림섬유, 삼원산업 등 수요기업에게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오롱패션머티리얼, 동일방직 등 원사 생산기업과 방직기업 조차 베트남산 수입을 확대하고 있어 시장질서를 무너뜨리고 있다.
원사 생산기업들은 코오롱패션머티리얼이 베트남산을 수입함에 따라 2017년 6월 사장단 회의에서 베트남산 수입을 자제하라고 요구했으나 2017년 7월까지 수입을 지속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인디아는 POY를 자급화해 저렴하게 DTY를 생산하고 있으며 가장 품질이 떨어지지만 현수막용, 니트 이면사용 등 저가제품에 투입이 가능해 국산에 비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타이완산은 2013년 2068톤, 2014년 2644톤, 2015년 2123톤, 2016년 2699톤이 유입됐으나 Formosa 등 타이완 생산기업들이 베트남에 최신 가연설비를 투입해 대량 생산함으로써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가연설비는 총 400대 수준에 불과하나 중국은 생산기업당 가연설비를 400-700대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고 타이완 폴리에스터 생산기업들은 베트남에 최신 고속가연설비를 투입해 DTY를 대량 생산함에 따라 가격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폴리에스터 DTY는 제조코스트가 kg당 원료 400원, 가공 200원 수준이지만 중국 및 베트남산은 규모화와 최신 가연설비 투자를 통해 코스트를 크게 절감한 것으로 파악된다.
시장 관계자는 “국내 가연설비 가동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중국산에 이어 베트남 및 인디아산이 저렴하게 유입돼 코스트 경쟁력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밝혔다.
TK케미칼도 가연설비 24대 가운데 시황 악화로 6개만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타이완기업들은 한국-베트남 FTA(자유무역협정)가 체결됨에 따라 무관세로 한국에 수출할 수 있어 베트남에 생산설비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중국산은 한국-중국 FTA가 체결됐으나 양허관세품목에서 제외돼 기본관세 8%를 유지함에 따라 베트남산이 코스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베트남산 DTY 가격은 2016년 75/72 기준 kg당 430원으로 중국산은 500원, 국산은 570원에 비해 저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산은 2017년 초 국산 가격을 넘어서는 등 코스트 경쟁력이 약화됐으나 여전히 국산에 비해서는 낮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베트남산은 저렴한 코스트를 바탕으로 국내 유입이 확대되고 있다”며 “품질이 중국산에 떨어지지만 타이완 생산기업들이 투자를 계속함에 따라 품질을 끌어올리고 있어 중국산도 대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무역위원회, 반덤핑관세 부과 “시늉”
무역위원회는 2006년부터 반덤핑 관세를 10% 미만으로 부과해 실효성을 상실함에 따라 국내기업 경쟁력 약화와 수입제품 유입 확대를 유발한 주범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덤핑 제소기업들은 무역위원회가 무역마찰을 의식해 관세율을 낮게 책정함에 따라 수입제품도 차단하지 못하고 국내기업들도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타이밍을 놓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관세율은 2006년 첫 반덤핑관세 부과에서 중국산 6.53-8.69%, 타이완산 6.60-8.69%, 말레이지아산 2.78%이었고 2010년 10월에는 중국산 3.36-3.69%, 타이완산 2.37-7.35%, 말레이지아산 5.59%, 2013년 11월에는 중국산 2.72-3.69%, 타이완산 2.22-7.35%, 말레이지아산 3.96-5.59%을 부과해 하락세를 기록했다.
삼성물산은 덤핑관세율을 2.93%로 낮게 부과받은 Hengli를 통해 2010년부터 중국산을 대거 유입함에 따라 국내시장에 수입제품 비중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Hengli는 수출량을 제한하기로 약속하고 중국기업에 비해 낮은 관세를 부과받았으나 제한 수출량을 넘어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Jiangsu Shenghong Science & Technology는 3.69%를 부과 받아 관세율을 감안해도 낮은 가격에 수출이 가능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무역위원회는 삼성물산이 거대 수입기업으로 자리잡고 있어 자국기업의 수익을 우선시해야하는 설립 취지에서 어긋난다고 판단할 정도로 무역기업 및 수입기업에게 관대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삼성물산은 중국산 DTY를 수입하고 있으며 인디아산 수입도 시도했으나 국내기업들의 반대가 극심해 2014년 하반기부터 거래를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이 난립해 인디아산을 수입하고 있으며 삼성물산은 인디아산 품질이 떨어져 수입량을 줄였고 베트남산 유입을 확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인디아산은 품질이 균일하지 못해 이면사용, 현수막용으로만 투입되고 있어 수입량이 둔화됐었다.
하지만, 국내기업들이 직접 기술직을 파견해 생산조건 등을 직접 설계함에 따라 품질이 크게 개선되고 있어 국내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관계자는 “인디아산은 중국, 베트남산에 비해 뒤처지고 있으나 빠른 속도로 품질이 개선되고 있어 중국, 베트남산과 경쟁할 날이 머지 않았다”고 밝혔다.

 

폴리에스터, 장섬유 시장 침몰 “우려”
가연기업들이 DTY 수입제품 유입으로 경쟁력이 악화됨에 따라 폴리에스터 장섬유 및 POY 생산기업들은 가동률이 급락하고 있다.
국내 폴리에스터 장섬유 생산능력은 2016년 기준 대한화섬 6만4800톤, 휴비스 10만1800톤, 코오롱패션머티리얼 7만9200톤, 효성22만6000톤, 도레이케미칼 5만9851톤, KP켐텍 3만2898톤, TK케미칼 11만5269톤, 성안합섬 8만톤, 도레이첨단소재 4만4503톤으로 총 80만4321톤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가동률은 2011년 86%, 2012년 84.4%, 2013년 83.7%, 2014년 79.3%, 2015년 77.9%, 2016년 76.1%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생산량이 2012년 76만2916톤에서 2016년 62만5397톤으로 급감했으며 특히 국내수요가 로컬 포함 2012년 59만7652톤에서 2016년 47만8064톤으로 감소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여기에 수입이 2012년 14만7810톤에서 2016년 28만6179톤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한 것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DTY는 수입제품 가격이 저렴해 대규모 최신설비를 도입하지 않는 이상 코스트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부가화 전환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폴리에스터 장섬유는 대기업이 방사공정을 통해 생산하면 여전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나 장섬유를 연신·가연하는 생산공정은 중국, 동남아, 인디아에 비해 코스트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TK케미칼과 성안합섬은 연신·가연설비를 보유하고 있어 반덤핑 제소에 참여하고 있으나 연신·가연설비를 시황 악화로 가동률이 30-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된다.
휴비스와 도레이케미칼 등은 장섬유가 시장경쟁력을 상실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섬유 생산 및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국내기업들은 장섬유 부문에서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 휴비스와 도레이케미칼은 단섬유 부문에서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가연기업, 고부가화 시도하고 있으나…
국내 가연기업들은 수입제품 유입으로 경쟁력을 상실함에 따라 특수 그레이드 생산에 집중해 수익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동호합섬은 가연설비만 가동하고 있는 중소기업 기업 가운데 생산능력이 가장 큰 월 2500톤에 달하는 원사를 가공하고 있으나 2013년에는 60억원의 대규모 자금을 투자해 Teijin 신함섭가연기 5대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타이완의 대규모화 투자에 비해서는 역부족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제조기술이 우수해 강도, 신도, 가연부분에서 글로벌 최상의 품질로 인정 받아 수출을 지속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동호합섬은 Murata 33H 특수사 가연기 10대, Teijin 가연기 5대 등을 투자해 다양한 기능성 신합섬 가공사를 개발·생산하고 있다.
2016년에는 110억원을 투입하며 디에이치무역을 설립해 독일 Barmag 첨단 가연설비 9대와 특수사 연신설비 6대를 가동함으로써 DTY 특수사와 복합사 등을 본격 생산할 방침이다.
FDM 난연사, ACS 흡한속건, SDX 고신축, SD ALY 융착사, FD 플달 고신축사 등이 수입제품에 비해 고부가화제품이며 국내 폴리에스터 장섬유 방사기업들인 효성, 코오롱패션머티리얼 등이 선도하고 있다.
성안합섬은 신규사업으로 나노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생분해성 섬유 등에 투자해 신규사업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군소기업들은 설비투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특수 그레이드 사업에도 진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최신 가연설비들은 1대당 15억원에 달하지만 국내기업들은 기존 중고 가연설비 등을 구매해 증설하는 수준에 그쳐 투자력에 한계를 나타냄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산에 비해 코스트 경쟁력에서 뒤처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허웅 선임기자: hw@chemlocus.com>


표, 그래프: <폴리에스터 DTY 수입동향, 폴리에스터 FDY 수입동향, 폴리에스터 POY 수입동향, 폴리에스터 DTY의 반덤핑 관세율, 폴리에스터 장섬유 가동률>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에너지정책] 폴리에스터, DMT로 리사이클한다! 2025-09-25  
[석유화학] P-X, 폴리에스터 침체에 떨어진다! 2025-07-11  
[석유화학] PTA, 폴리에스터 부진에 “흔들” 2025-07-11  
[석유화학] MEG, 폴리에스터 부진에 감산고려 2025-07-04  
[석유화학] P-X, 폴리에스터와 동반 “상승” 2025-06-20  
석유화학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