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 및 제약기업들이 중국 때문에 애를 먹고 있다고 한다.
중국이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산 수입을 규제한 때문이냐 하면 전혀 그렇지 않다. 반대로 중국이 한국에 수출하지 않아 난리라고 한다. 물론, 한국에만 수출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수출물량이 줄어들어 아시아는 물론 글로벌 수급타이트가 심화되고 국제가격이 연일 폭등하는 사태로 발전하고 있다.
정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2-3개월 사이에 수입가격이 50% 오른 것은 일반적이고 어떤 품목은 70%, 심지어는 150-200% 폭등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환경규제를 강화한 나머지 환경 대응이 부실한 군소기업들이 공장을 폐쇄하거나 일부만 가동함으로써 공급량이 크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밀화학의 원료나 제약 원료를 생산하는 화학기업들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영세해 환경규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고 중국 정부가 단속을 강화하자 문을 닫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고 있다고 한다. 예외 없이 원칙대로 처리하는 것도 예전과 다른 모습이라고 한다.
중국이 환경규제를 대폭 강화하고 있는 이유는 불문명하나 현지에서는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베이징이나 톈진을 중심으로 한 중부권의 극심한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규제를 지속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제19차 전국인민대표자대회가 마무리되면 완화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하나는 중국 일부 지역의 환경오염이 너무 심각해 겨울철부터 봄철까지는 사람이 살 수 없는 지경이라는 점에서 강력한 규제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고, 하나는 제19차 대회에서 시진핑 주석을 중심으로 권력구조를 개편하는데 방해요인을 제거하고 중국을 자랑스럽게 보이면 그만이지 환경규제가 본 목적이 아니라는 것이다.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어느 수준에서 설비를 개선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다고 한다. 아마도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고 설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 비용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나온 원망일 것이다.
중국 정부가 무엇을 노리고 있는지는 제19차 대회가 끝나거나 겨울철에 접어들면 알 수 있겠지만 정밀화학이나 의약품 원료를 확보해야 하는 국내 관련기업들은 중국으로, 인디아로, 아니면 서유럽이나 중남미로 출장을 떠나는 등 동분서주하고 있다.
당장 높은 가격에 구매하더라도 원료를 차질없이 납품해야 하기 때문으로, 일부 손해를 감수하는 것은 물론이고 대체 공급처를 확보하는 것 또한 쉽지 않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국이 사드 보복을 노골화하고 석유화학제품까지 반덤핑으로 제소하는 판국이니 미리 대비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너무 마음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각성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된다. 국내기업들이 사드 보복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지 않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인식하고 있다.
국내 화학기업들은 석유화학, 정밀화학, 제약, 화장품을 가릴 것 없이 중국에 절대 의존하는 영업방식에서 탈피함으로써 또다른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