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케미칼(대표 김창범)은 중국의 폴리실리콘(Polysilicon) 반덤핑 규제 확대 위기에서 벗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상무부는 11월21일 한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재조사 결과를 공식 발표하며 한화케미칼에게 8.9%, OCI 4.4%, 한국실리콘 9.5%, KCC는 113.8% 수준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2011년 한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실시해 2014년 1월부터 2.4-48.7%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했으나 이후에도 한국산의 수출비중이 줄곧 1위 자리를 차지함에 따라 중국기업들이 요청해 재조사에 돌입했다.
2017년 들어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중국과의 갈등이 심화됨에 따라 재조사 후 더 높은 수준의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우려됐으나 한화케미칼은 관세율이 기존 12.3%에서 8.9%로 낮아져 부담이 해소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OCI는 전체 매출 가운데 중국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60-70%에 달하나 중국 관세율이 기존 2.4%에서 4.4%로 올라 수출 감소가 우려디고 있다.
또 한국실리콘도 5%대 관세가 매겨질 것이라는 시장의 전망과 달리 9.5% 관세율을 책정받았고, KCC도 100% 이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관세를 부과받아 타격이 클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상무부는 최근 중국기업의 폴리실리콘 발전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한국산에 대한 반덤핑관세를 큰 폭으로 올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태양광 정보지 Solarzoom에 따르면, 현재 GCL, TBEA, Yongxiang 등 현지기업의 제조코스트가 Waker Chemie나 OCI보다 이미 낮은 수준이어서 상당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2017년 2/4분기 이후 폴리실리콘 가격이 많이 오른 것도 상무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실리콘 가격은 8월 말 kg당 16달러대로 상승한 이후 3개월째 유지되고 있으며 만약 중국이 한국산에 대해 높은 수준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했다면 더욱 급등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