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한국기업의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자동차(EV)를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또다시 제외했다.
최근 정부 차원에서 한국-중국 관계 복원 움직임이 강화됨에 따라 중국 정부의 태도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됐으나 2차전지 사업에서는 국내기업들의 빙하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공업화신식부가 발표한 2017년 11번째 친환경 자동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LG화학, 삼성SDI 등 한국기업이 생산한 배터리를 탑재한 EV는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중국은 1월부터 EV 보조금 대상에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자동차를 제외했으며 최근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해빙 분위기와 문재인 대통령의 보조금 제외 철회 요청에도 불구하고 기존 방침을 유지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LG화학, 삼성SDI은 중국 사업 확대에 계속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에 위기 타파를 위해 취했던 중국 현지공장 생산량의 유럽 수출, ESS(Energy Storage Systeme) 용도 선회 등의 움직임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관계자들은 중국 정부의 한국기업들에 대한 보조금 대상 제외 조치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중국 정부가 EV에 대한 보조금을 2018년 20% 가량 축소하고 2020년에는 완전히 폐지할 계획이어서 정책 방향을 수정할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사드 문제가 불거지기 이전부터 중국 정부가 자국기업 육성과 기술력 확보를 위해 한국기업들에 대한 견제를 지속했기 때문에 단기간에 제재조치를 해제할 이유가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따라서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최근 생산거점을 확대하고 있는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사업을 더욱 확장하고 이르면 2018년부터 동유럽 현지공장에서 완성차 생산기업들에게 EV용 배터리 셀을 공급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