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대표 전영현)가 하이니켈 양극재로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시장을 공략한다.
EV에는 LiB(Lithium-ion Battery)가 주로 탑재되며 양극은 배터리 용량, 출력에 영향을 미쳐 양극의 반응에 관여하는 활물질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활물질은 주로 Ni(니켈), Mn(망간), Co(코발트), AI(알루미늄)을 조합해 구성하며 현재 EV 배터리에 적용하는 양극재는 비율에 따라 NCM, NCA, LMO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NCA는 NCM, LMO 등 다른 소재에 비해 출력과 에너지밀도가 높아 전동공구용 등 소형전지 시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 부피에 비해 많은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할 수 있어 EV 주행거리를 늘리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대부분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NCM 개발에만 주력하고 있으나 삼성SDI는 NCA와 NCM 2가지 활물질을 모두 개발하고 있다.
특히, NCA는 NCM에 비해 원료 합성 및 수분 제어에 대한 난도가 높아 다른 배터리 생산기업들이 진입하기 어려운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에는 또다른 양극활물질 가운데 하나인 코발트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니켈 함유량 80% 소재를 코발트 대체소재로 공급하는 방안에도 주목하고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NCA 소재 기반 전동공구용 배터리 시장에서 글로벌 점유율 50% 이상으로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다”며 “차별화된 NCA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존 소형 배터리에서 EV용 배터리로 시장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