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이 생활화학제품의 어린이 안전사고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2015-2017년 소비자위해감시 시스템에 접수된 생활화학제품 관련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총 200건 가운데 5세 미만 어린이 안전사고는 179건으로 89.5% 수준에 달했다.
사고 건수는 세정제가 69건으로 34.5%, 방향제가 31건으로 15.5%, 습기제거제가 29건으로 14.5%, 합성세제가 19건으로 9.5%로 세정제가 가장 많았다.
사고유형은 음용이 155건으로 77.5%, 안구접촉이 39건으로 19.5%, 피부접촉이 4건으로 2.0% 등이며 위해 부위와 증상은 소화기계통 장기손상‧통증, 안구손상이 38건으로 19.0%, 피부 손상이 7건으로 3.5%를 차지했다.
소비자원은 전국 만 3-4세 어린이를 키우는 부모 500명 가운데 59.2%가 자녀 스스로 생활화학제품 용기를 개봉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개봉한 생활화학제품은 세제류가 32.4%로 가장 많았고 접착제류가 23.5%, 방향제류가 16.6%, 염료‧염색류가 7.0%로 뒤를 이었다.
내용물 형태는 젤‧에멀션형이 28.6%로 가장 많았고 액상형이 27.2%, 가루형이 17.9%를 차지했다.
자녀 스스로 생활화학제품을 개봉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부모는 296명 가운데 149명으로 36.4%를 차지했으며 자녀는 내용물을 쏟는 등 사고위험에 노출됐다.
14.2%를 차지한 58명의 자녀는 피부에 닿거나 화학제품을 마셔 응급조치나 병원 치료를 받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응급조치나 병원 치료를 유발한 생활화학제품은 방향제류가 19건으로 32.8%, 세제류가 13건으로 22.4%, 접착제류가 6건으로 10.3%를 차지했으며 제형은 젤‧에멀션형이 22건으로 37.9%, 가루형이 18건으로 31.0%, 캡슐형이 7건으로 12.1%를 기록했다.
사고유형은 피부접촉이 37건으로 63.8%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흡입‧음용이 19건으로 32.8%, 안구접촉이 2건으로 3.4%를 차지하며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은 환경부 등에 어린이 보호 포장 대상 생활화학제품 규제 강화를 요구할 예정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어린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가루‧에멀션‧젤형 생활화학제품까지 어린이 보호 포장 대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에서는「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및 위해 우려 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 기준」에 따라 세정제, 코팅제, 접착제, 방향제, 부동액 5개 품목에 대해 특정 화학물질이 일정 함량 이상 투입된 생활화학제품에만 어린이보호 포장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재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