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석은 국제가격이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2017년 말 주요 생산국인 중국에서 북부 광산들이 예년에 비해 이른 시기에 채굴을 중단한 영향으로 공급량이 대폭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다운스트림인 불소화합물 생산기업들이 형석 확보에 적극 나서면서 재고가 완전히 고갈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출가격이 2011년 여름 이후 사상 최고치인 톤당 680달러대에 육박하고 있다.
4월경 북부 광산이 조업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동시에 냉매용 불소 성수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반대로 조달난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형석은 2017년 중국 각지의 광산이 환경 및 안전대책 관련 사찰을 받으며 분진, 배수 등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사업장을 중심으로 잇따라 조업을 중단함에 따라 공급량이 급감했다.
또 2017년 말에는 조업을 지속하던 광산들마저 강설을 이유로 예년에 비해 이른 시기에 채굴을 중단해 공급량 감소가 가속화됐다.
반면, 다운스트림인 불산 수요가 호조를 지속하며 수급은 급격히 타이트해졌으며 연초 300달러대였던 가격은 500달러대 초반까지 급등했다.
2018년 들어서는 중국에서 다운스트림을 중심으로 공급불안 심리가 확산돼 형석 확보 쟁탈전이 시작됐다.
특히, 구정 연휴가 시작됐을 때에는 북부 이외의 광산들도 조업을 중단함에 따라 형석 공급량이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중국을 중심으로 한 불산 생산기업들이 재고 확보를 위해 구매를 확대했다.
결과적으로 중국 재고가 고갈돼 일본을 포함한 해외로 수출할 수 있는 여력을 상실했으며 가격이 상승해 최근에는 600달러대 중반을 형성하고 있다.
2011년 여름 기록한 사상 최대치 680달러에 근접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부 광산은 봄이 되며 조업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되나 환경규제를 이유로 조업을 중단한 광산도 다른 지역에 다수 있고 조업규제가 해제될지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해제된다 하더라도 다운스트림인 불산 시장에서는 예년 3-6월이 냉매용 성수기이기 때문에 형석 구매가 더욱 활성화돼 중국 형석은 심각한 조달난에 빠질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가격이 더욱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