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이 LG화학, 삼성SDI 배터리의 유럽 운송을 재개한다.
아시아나항공은 4월3일 오전 8시30분 인천공항 출발 러시아 모스크바, 오스트리아 빈 경유 프랑크푸르트행 OZ795편(B747)을 시작으로 6월까지 총 3개월 동안 전기자동차(EV) 배터리를 운송할 계획이다.
첫 화주는 삼성SDI, LG화학이며 인천발 유럽행 노선만을 대상으로 우선 시행한다.
아시아나항공이 LiB(Lithium-ion Battery)의 화물 운송을 재개한 것은 2011년 7월 화물기 추락사고 이후 처음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소속 화물기 B747-400F(991편)가 하이브리드자동차(HEV)에 사용되는 LiB를 비롯해 6건의 인화성 액체 위험물을 싣고 비행하던 중 화재로 제주해상에 추락하는 사고를 냈다.
해당 사고로 조종사 2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기체는 전파됐고 탑재화물은 인양불능 상태로 대부분 유실됐다.
국토교통부 산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직접적인 발화원인을 규명하지 못했지만 LiB와 아민혼합액, 페인트, 감광액 등 인화성 액체 위험물이 혼재돼 탑재된 것이 발화사고에 기여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아시아나항공은 재발 방지와 안전운항 확보를 위해 EV 배터리 운송을 위한 자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안전기준을 강화했다.
EV 배터리 화물을 화재진압장치가 설치된 하부 화물실에만 탑재하기로 하고 배터리 전용 체크리스트를 운용해 접수·적재·탑재 단계별로 전 과정에 대해 이중점검을 실시하는 등 안전운항에 만전을 기했다.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첫 비행에는 아시아나항공 안전심사팀과 운항품질팀도 함께 탑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조종사 전원이 사망한 과거 추락사고로 조종사들의 정서적 불안감이 큰 만큼 EV 배터리 공장과 관련 시설 견학,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시범비행 과정에서 화물기 조종사들의 의견도 적극 반영해나갈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은 2017년 화물 사업부문에서 1조3902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2018년에는 LiB,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수요 호조로 항공화물 물동량이 증가해 1조3852억원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