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화학제품은 유럽에서만 수출경쟁력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국내 수출량은 중국, 미국, EU(유럽연합), 일본 등 4대 시장에서 모두 증가했지만 수출경쟁력은 대부분 하락하거나 제자리를 맴돌았다.
경쟁력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시장점유율은 불변이라는 가정 아래 수출증가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한국산의 경쟁력은 도리어 수출 감소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최중요 시장인 중국, 미국에서 주요 수출국 가운데 유일하게 수출이 각각 4.0%, 1.6% 줄어들었다.
반면, 미국과 독일은 중국에서 경쟁력 요인에 의한 수출 증가율이 각각 4.4%에 달했고 일본도 1.7%로 시장점유율이 늘어나 한국의 수출경쟁력 감소는 글로벌 트렌드보다 국내 고유의 문제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품목별로는 해외생산 확대, 경쟁 심화 등으로 디스플레이와 휴대폰의 수출경쟁력 하락이 두드러졌으며 자동차는 EU를 제외한 중국, 미국, 일본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대신 한국이 주춤하는 사이 일본, 타이완, 중국 등은 시장점유율을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EU 시장에서는 한국산의 경쟁력 요인에 따른 수출 증가율이 12.6%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유기화학제품과 의료용품을 중심으로 화학제품의 경쟁력이 크게 개선됐고, 한국-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철폐 등으로 자동차 시장점유율이 소폭 상승했다.
일본에서는 농수산물, 반도체 등 경쟁력이 개선된 반면 휴대폰, 자동차 등은 하락해 전체 수출경쟁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김건우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과 미국에서 경쟁력이 2년 연속 수출 감소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은 한국산의 경쟁력 약화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닐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면서 “주력 품목의 수출경쟁력 회복과 신 성장품목 시장 선점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