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오염물질 배출감축 주력 … 안전관리체제 구축도 촉진
화학저널 2018.05.28
중국 페인트산업이 친환경 대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페인트공업협회는 2020년을 목표로 하는 6대 행동계획을 확정했다.
폐수 및 폐가스 관리, 고체 폐기물 처리, 화학공업단지를 포함한 6개 항목의 목표를 설정했으며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배출량을 2015년 말에 비해 30%, 비교적 중대한 사고를 15% 감축하는 등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중국 페인트 시장은 관련기업의 환경대책 미비가 문제시됨에 따라 협회 차원에서 생산체계 구조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페인트공업협회가 발표한 2017-2020년 친환경 발전 6대 행동계획은 페인트산업의 제조모델을 친환경 방식으로 전환하고 이노베이션 구동형 성장이 목표로 ①폐수 관리 ②폐가스 관리 ③고체 폐기물 처리·처치 ④에너지 절약 및 저탄소화 ⑤안전관리 ⑥화학공업단지 분야에서 2020년까지 달성해야 할 목표를 구체적으로 수록하고 있다.
폐수 관리는 폐수 배출량, 폐수 내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암모니아질소 함유량을 감축해 위험성이 높은 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고 수자원을 종합적·효율적으로 관리·이용함으로써 산업폐수 배출량 표준을 달성할 방침이며 관련기업 80%의 배출제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폐가스 관리는 2020년 페인트산업의 VOCs 배출량을 제12차 5개년 계획(2011-2015년) 말기에 비해 30% 감축하고 친환경제품 생산비율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림과 동시에 VOCs 누설검사 및 복구기술을 강화하고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등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페인트산업의 VOCs 배출 관리에 대한 표준지침을 마련한 후 공표할 방침이다.
에너지 절약 및 저탄소화는 공업 부가가치액 1만위안당 에너지 소비량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2015년 말에 비해 10% 감축하고 중점제품 단위당 에너지 소비량을 대폭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안전관리는 중대사고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비교적 중대한 사고를 15% 줄이기 위해 일부 페인트 생산기업이 자립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체제를 구축하도록 촉진할 방침이다.
생산기반인 화학공업단지와 관련해서는 녹색화학공업단지 및 국가순환개조모델단지 10곳을 형성해 순환생산을 위한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공업단지의 고체 폐기물 이용률, 수자원 순환이용률을 향상시켜 주요 오염물 배출량을 대폭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 페인트산업은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도 2017년 2057사의 매출이 4173억위안으로 전년대비 5% 증가하는 등 안정적인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페인트공업협회는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수익률 향상 및 환경·안전 생산체제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표, 그래프: <중국 페인트산업의 6대 목표(2020)>
<화학저널 2018년 5월 2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