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대표 김준)이 중국의 전기자동차(EV) 보조금 확보에 실패했다.
SK이노베이션은 5월 말 중국 정부로부터 형식승인을 받으며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조치 이후 첫 EV 보조금 지급 대상이 될 것으로 관심을 모았으나 최근 발표된 보조금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공업신식화부(공신부)는 7월10일 2018년 4차 신에너지 자동차 추천 목록을 발표했으며 105개 자동차기업의 318개 모델이 새롭게 보조금 대상에 포함됐으나 SK이노베이션 배터리셀을 탑재한 베이징벤츠(Beijing Benz)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는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해당 모델은 5월 말 먀오웨이 중국 공업신식화부 부장이 제3차 한국·중국 산업장관회의에서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직접 형식승인 통과 사실을 밝히면서 관심을 받은 바 있다.
다만, SK이노베이션 배터리 탑재 모델 외에도 베이징벤츠의 자동차는 보조금 목록에 1대도 포함되지 않아 중국 정부가 반려한 것인지 아니면 베이징벤츠가 처음부터 보조금 신청을 하지 않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SK이노베이션 배터리셀을 탑재한 자동차는 보조금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다만, 보조금 신청은 완성차 생산기업이 결정하는 일로 배터리 생산기업 차원에서는 신청 여부 확인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최근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현지 법인이 중국 자동차공업협회가 선정하는 배터리 우수기업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고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종이 형식 승인을 받아 중국 판매가 허용되면서 사드 보복에 따른 타격이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 상태이지만 실제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중국 정부가 2020년 보조금 제도 완전 폐지를 앞두고 단계적으로 지원규모를 축소하고 있는 만큼 2020년 이후 출시 EV 배터리 수주에 집중하고 있다.
한편, 공신부 보조금 목록에 LG화학, 삼성SDI 배터리를 탑재한 EV가 포함됐는지 여부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