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벤처기업이 개발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용 핵심소재가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기업에 공급된다.
머티어리얼사이언스는 OLED용 유기소재인 적색 프라임 소재를 중국 최대 OLED 생산기업에게 8월부터 양산 공급한다고 7월16일 밝혔다.
적색 프라임은 붉은색을 내는 발광층(EML)과 정공수송층(HTL) 사이에 증착하는 소재로 음극에서 출발한 전자가 EML을 지나쳐 HTL을 침범하지 않게 막아 OLED의 발광효율을 높여주는 기능을 한다.
OLED 발광효율이 높을수록 적은 양의 배터리로도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수 있어 스마트폰‧스마트워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프라임 소재는 적색 외에도 청색‧녹색에도 각각 쓰이나 적색에 들어가는 소재가 가장 부가가치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적색 프라임 소재는 머티어리얼사이언스가 2016년 중국 LTOPTO와 합작 설립한 LTMS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LTOPTO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용 액정 및 OLED 원료 등을 생산하는 화학기업이다.
LTMS는 2017년 상반기 중국 Xian에 양산설비를 구축했으며 최근 대형 디스플레이 생산기업을 수요처로 확보하고 8월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현재 생산능력이 월 500kg 수준이며 앞으로 다른 수요처와 추가 공급계약이 성사되면 월 1톤대로 생산능력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중국은 BOE, CSOT, Tianma, Everdisplay Optronics, GVO 등 다수의 디스플레이 생산기업들이 OLED 생산설비에 경쟁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중소형 OLED 생산능력이 2016년 22만8000평방미터에서 2020년 830만평방미터로 연평균 145%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상대 머티어리얼사이언스 상무는 “유기소재 서플라이 체인이 사실상 고정된 국내와 달리 중국은 이제 막 양산체제에 돌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