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A(Purified Terephthalic Acid)는 800달러가 무너졌다.
아시아 PTA 시장은 원료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됐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수가격이 떨어진 영향을 받아 하락이 불가피했다.

PTA 시세는 1월3일 CFR China 톤당 785달러로 20달러 하락했고 CFR SE Asia도 795달러로 20달러 떨어졌다. CFR India는 20달러 하락해 797달러를 형성했다.
국제유가가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56.69달러로 2.55달러 급등함에 따라 원료 P-X(Para-Xylene) 현물가격이 1월4일 FOB Korea 톤당 951달러로 23달러 상승했으나 1월2일에는 CFR Taiwan 928달러로 39달러 급락했기 때문이다.
중국시장에 수입제품 유입이 늘어난 것도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CFR China와 중국 내수가격의 스프레드는 톤당 115달러에서 77달러로 크게 좁혀졌다.
중국의 폴리에스터(Polyester) 생산기업들이 1월 중순부터 총 생산능력의 18%에 해당하는 플랜트를 가동중단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장저우(Zhengzhou) 상업거래소에서는 5월 선물가격이 톤당 5834위안으로 198위안 급등해 현물시세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
특히, 1-3월은 인디아가 폴리에스터 성수기여서 PTA 수입을 확대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인디아는 폴리에스터 가동률이 총 생산능력 기준 60-65%에 불과해 예년의 70-72%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PTA는 정기보수도 영향을 미칠 것이 확실시된다.
타이완의 Oriental Petrochemical은 Taoyuan 소재 PTA 150만톤 플랜트를 1월 초 재가동했다.
그러나 중국의 Yisheng Petrochemical은 1월 말부터 다롄(Dalian) 소재 No.1 PTA 220만톤 플랜트를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원래는 1월19일 가동중단할 예정이었으나 연기했다.
Sanfangxiang Group은 12월 말 No.2 120만톤 플랜트를 가동중단했고, Hengli Petrochemical은 1월 다롄 소재 No.3 220만톤 플랜트를 2주간 일정으로 정기보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