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미생물로부터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경로를 총 정리한 지도를 완성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개발·완성했
다고 1월1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카탈리시스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석유로부터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 등 글로벌 기후변화를 유발하고 있어 세계 각국은 친환경적 방법으로 화학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미생물을 활용한 화학물질 생산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연구팀은 미생물과 같은 바이오매스 원료에 생물공학적 또는 화학적 기술을 적용해 화학원료, 연료 등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바이오 리파이너리 공정을 활용해 화학물질을 생산할 때 필요한 바이오 및 화학반응들에 대한 정보를 총망라해 생명공학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게 지도 형태로 정리했다.
연구팀이 구축한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는 화학물질 생산을 위한 생물공학적·화학적 반응 전체에 대해 최적의 합성 경로를 구축한 것으로 앞으로 바이오 기반 화학제품 생산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네이처 카탈리시스가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를 포스터로 제작해 관련 분야의 산업계 및 연구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세계에 배포할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 지도는 앞으로 시스템 대사공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아이디어의 청사진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친환경 화학은 물론 의료, 식품, 화장품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