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이 여수 PVC(Polyvinyl Chloride) 페이스트 공장을 폐쇄한다.
환경부와 영산강유역환경청은 미세먼지 원인물질인 먼지, 황산화물 등의 배출량을 조작한 4곳의 측정대행기업과 측정을 의뢰한 사업장 235곳을 적발했다고 4월17일 밝혔다.
지구환경공사, 정우엔텍연구소, 동부그린환경, 에어릭스가 LG화학 여수화치공장, 한화케미칼 여수 1·2·3공장, 에스엔엔씨, 대한시멘트 광양태인공장, 남해환경, 쌍우아스콘 등 6곳을 포함한 235곳에 대해 2015년부터 4년 동안 대기오염물질 측정값을 축소해 조작하거나 실제로 측정하지도 않고 허위 성적서를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적발 즉시 4곳의 측정대행기업과 6곳의 배출기업을 기소 의견으로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에 송치했으며 나머지 배출기업에 대해서도 보강 수사를 진행하고 마무리되는 대로 추가로 검찰에 송치할 계획이다.
측정대행기업 4곳이 의뢰받아 대기오염도 측정 기록부를 조작하거나 허위로 발급한 건수는 2015년부터 4년 동안 총 1만3096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8843건은 실제 측정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4253건은 실제 측정값을 대기오염물질 배출 농도의 33.6% 수준으로 축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 기준치를 173배 이상 초과했지만 이상이 없다고 조작한 사례도 있었으며 먼지와 황산화물 측정값도 법적 기준의 30% 미만으로 조작해 대기기본배출 부과금도 면제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조작을 위해 측정대행기업 직원과 배출기업이 카카오톡 등을 통해 원하는 측정일과 농도 등을 협의한 정황도 포착됐다.
LG화학은 2016년 11월 여수화치공장에서 정우엔텍연구소와 공모해 생산설비에서 채취한 시료의 PVC 실측값이 207.97ppm으로 배출허용기준인 120ppm을 초과했음에도 3.97ppm으로 축소해 보고했다.
신학철 LG화학 사장은 대기오염 물질 수치를 조작했다는 환경부 발표와 관련해 사과하고 관련 생산설비를 폐쇄하겠다고 4월17일 밝혔다.
신학철 사장은 사과문을 통해 “공장 인근 지역주민과 관계자분들께 환경에 대한 걱정을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해당 사태는 LG화학의 경영이념이나 개인적인 경영철학에 정면 반하는 것으로 어떠한 논리로도 설명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LG화학은 통렬히 반성하고 모든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겠다”면서 “PVC 배출과 관련해 책임을 다하기 위해 관련 생산설비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이 폐쇄 결정을 내린 것은 PVC 페이스트 8만톤 공장으로 파악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