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 사이 재벌들의 경영권 승계작업이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64개 대기업 집단 중 총수가 있는 55개 대기업 집단의 핵심 계열사 지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총수의 자녀 세대가 5년 전보다 지분을 늘린 곳은 전체의 55%인 30개로 집계됐다.
총수 일가가 보유한 주식자산 가운데 자녀 세대 보유 비중이 5년 사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대림그룹으로, 2014년에는 대림코퍼레이션의 총수 일가 주식자산(7780억원) 중 65%를 이준용 대림산업 명예회장이, 나머지 35%를 이해욱 대림산업 회장 등이 보유했는데 현재는 이해욱 회장의 대림코퍼레이션 지분이 52.3%로 늘었다. 2015년 이해욱 회장이 보유하고 있던 대림I&S와 대림코퍼레이션이 합병하면서 지분이 증가했다.
한진(한진칼)과 OCI는 자녀 세대의 지분이 각각 46.2%포인트, 41.2%포인트 상승했고 호반건설 32.5%포인트, 한국테크놀로지그룹 31.9%포인트, LG 29.9%포인트, LS 23.6%포인트, 현대자동차 22.8%포인트 높아졌다.
LG와 한진은 구본무, 조양호 회장의 사망으로 자녀에게 승계가 이루어졌으며, 대림과 호반건설은 자녀 세대가 지주사 등 핵심 계열사의 지분 확보를 통해 주식 비중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림, 롯데, 한국테크놀로지그룹 등 3곳은 총수 일가가 보유한 핵심 계열사 주식자산을 100% 자녀 세대가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