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상반기 순이익이 3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학기업들은 순이익이 90% 이상 격감해 대응책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가 12월 결산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기업 690사(금융업 등 제외)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2019년 상반기와 비교해 매출은 943조2240억원으로 5.8% 줄어드는데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42조6534억원으로 24.2%, 순이익은 25조5426억원으로 34.1% 급감했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4.52%로 1.10%포인트, 순이익률은 2.71%로 1.16%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전체 매출의 11.48%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코스피 상장기업의 매출액은 834조9327억원으로 6.5% 감소에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28조597억원으로 35.4%, 순이익은 15조1026억원으로 47.1% 급감했다. 영업이익률은 1.50% 떨어진 3.36%, 순이익률은 1.39%포인트 하락해 1.81%에 그쳤다.
순이익은 음식료품(173.82%), 의약품(122.09%)을 비롯 종이‧목재(57.86%), 의료‧정밀(28.63%), 통신(10.63%), 전기‧전자(4.44%) 등 6개 업종은 흑자가 증가했고 음식료품(7.12%), 의약품(15.97%), 통신(2.03%), 의료‧정밀(0.13%) 등 4개 업종은 매출도 증가했다.
그러나 화학(-97.03%), 섬유‧의복(-88.86%), 운수‧장비(-70.98%), 철강‧금속(-65.15%), 서비스(-58.63%), 비금속광물(-51.51%)은 흑자가 격감했고 유통(-30.40%), 건설(-10.33%)도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