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길이를 늘였다가 줄여도 성능을 유지하는 2차전지를 개발했다.
포스텍(POSTECH) 화학과 박수진 교수, 송우진 박사, 박사과정 이상엽씨 연구팀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송현곤 교수, 황치현 박사 연구팀
과 함께 야누스 페이스 전극을 이용해 길이를 조절해도 성능을 유지하는 2차전지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신체 움직임에도 화재나 폭발위험이 없는 착용 전자기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변화된 형태에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2차전지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수계 전해질을 기반으로 한 아연-은 전지는 우수한 출력과 안전성을 나타내 착용기기 전원 소자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착용 기기에 적용하려면 우수한 신축성과 안정적 수명 보장을 위한 새로운 전극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2개의 얼굴을 지닌 로마신화의 신 야누스처럼 양극과 음극이 하나의 전극에 구성된 야누스 페이스 전극을 사용해 늘어나는 성질을 보유한 아연-은 이차전지를 개발했다.
야누스 페이스 전극은 늘였다가 줄이는 과정을 200회 반복해도 문제가 없고 전도도 역시 우수했으며 야누스 페이스 전극을 기반으로 만든 연신성 2차전지는 200번 충·방전 후에도 초기 용량 90%를 유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박수진 교수는 “새로 개발한 2차전지를 다양한 착용기기(Wearable Device)에 적용하면 입는 컴퓨터 시대가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