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로 유예했던 화학공장 정기검사가 정상화된다.
환경부는 3월31일 충청북도 오송 화학물질안전원에서 화학사고 비상대응 회의를 개최하고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황석태 환경부 생활환경정책실장 주재로 화학안전기획단, 화학물질안전원, 유역(지방)환경청의 화학안전관리단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화학사고 발생 동향 및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최근 사고 발생의 주된 요인을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따른 현장 점검 및 교육 등의 한계로 판단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취급시설에 대한 점검 및 취급자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현장 여건을 반영한 맞춤형 컨설팅 등을 추진해 화학 안전망을 보완할 계획이다.
유역(지방)환경청은 화학사고 이력이 있거나 주거 밀접지역에 위치한 사업장, 무허가 의심 사업장을 점검해 안전관리 실태를 자세히 확인한다.
그동안 코로나19로 유예했던 정기검사를 정상적으로 시행해 노후·위험시설을 조기에 발견하고 개선할 방침이다.
화학물질 취급자 안전교육에 모바일 서비스를 도입하고 안전교육의 질도 향상할 계획이다.
아울러 재정·기술적인 역량이 부족해 제도 이행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가 진행하는 컨설팅 사업을 통해 지원하고 시설 개선자금 지원 추가사업도 검토하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4월1일부터 새로 시행하는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 제도의 안착을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대상 사업장의 자체 시설점검·관리 등 계획의 이행 여부를 점검·평가하고 개선하도록 촉구해 화학 안전관리 역량을 높일 방침이다.
황석태 환경부 생활환경정책실장은 “화학사고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화학 안전망 구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