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Moderna)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을 위탁생산한다.
한국-미국 양국 정부 및 관련기업은 5월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백신 생산기업 협력 행사를 열고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포함한 4건의 백신 관련 계약 및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와 코로나19 백신 mRNA-1273 완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해외에서 생산된 모더나 백신 원액을 국내에서 완제 충전해 생산하며 백신 원료의약품을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최종 형태로 만드는 완제 공정에 대한 기술 도입에 곧바로 착수할 예정이다.
3분기부터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백신 수억회 분량에 대한 바이알(유리병) 무균충전, 라벨링, 포장 등을 시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모더나에서 보낸 백신 원액을 유리병에 담는 과정을 맡은 것으로, 원료의약품 자체를 생산하는 것은 아니며 SK바이오사이언스가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노바백스(NovaVax)와 백신 원액 생산단계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전체 제조공정을 위탁한 것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은 스위스 제약기업 론자(Lonza) 등이 맡고 있다.
그러나 완제 공정에도 상당한 기술력이 필요하고, 특히 원액을 바이알에 주입하는 과정은 인체 투입 전 최종단계이기 때문에 철저한 품질 유지와 무균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2년 완제 공정 사업을 개시한 이래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 등에서 총 16건의 관련 승인을 받았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모더나 백신은 코로나19와 싸우고 있는 전세계인에게 가장 중요한 백신”이라며 “전세계 백신 긴급 수요에 대응해 하반기 초 상업용 조달이 가능하도록 신속한 생산 일정을 수립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미국 백신 생산기업 협력 행사에서는 산업부, 복지부, 모더나가 모더나의 한국 투자 및 생산 관련 논의를 위한 MOU도 체결했다.
국립보건연구원과 모더나는 감염병 질환 연구협력 강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으며, 복지부와 SK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는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한 백신의 개발·생산 MOU를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