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SK, 포스코, 효성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협력한다.
현대자동차 그룹에 따르면, 6월10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이 경기도 화성의 현대자동차·기아 기술연구소에서 만나 수소기업협의체 설립을 논의했다.
4개 그룹은 앞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간기업 주도의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한국판 수소위원회 설립을 추진한 바 있다.
수소기업협의체는 현대자동차, SK, 포스코 등 3개 그룹이 공동의장을 맡고 수소 관련 사업과 투자를 실시하고 있는 관련기업의 추가 참여
를 유도할 예정이다.
7월까지 참여기업을 확정하고 9월 최고경영자(CEO) 총회를 열어 출범을 공식화할 계획이다.
CEO 협의체로 운영되는 수소기업협의체는 정기총회와 포럼 개최 등을 통해 국내기업의 수소 투자 촉진을 유도하고 수소사회 구현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방침이다.
4개 그룹은 수소기업협의체 설립과 함께 개별적인 차원에서도 수소 관련 사업에도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은 “수소기업협의체 설립을 비롯해 국내 주요기업과 수소 사업 관련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며 “수소에너지의 확산과 수소사회 조기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SK 회장은 “국내 수소산업을 육성하고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관련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글로벌 수소 강국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산업계도 힘을 합쳐 탄소중립과 국가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고 언급했으며,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은 “수소 충전과 공급설비 국산화를 통해 경제적인 수소 밸류체인 구축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자동차는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자동차를 양산했고 2030년까지 수소전기자동차 50만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70만기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SK그룹은 2020년 말 수소 사업 전담조직인 수소사업추진단을 신설했으며 2023년 부생수소 3만톤을 시작으로 2025년부터는 친환경 청정수소 25만톤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수소 사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삼고 205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량 500만톤, 수소 매출 3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효성은 2023년까지 글로벌기업 린데(Linde)와 함께 울산 남구 용연 국가산업단지에 1만3000톤의 액화수소 공장을 건설하고 전국 30여곳에 대형 액화수소 충전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6월10일 현대자동차·기아 기술연구소를 방문한 4개 그룹 회장은 넥쏘 자율주행 자동차, 수소전기트럭, 수소전기버스, 아이오닉 5, EV6, G80 전동화 모델, GV80, GV70, 스타리아 등 현대자동차의 주요 차종을 시승했다.
시승 이후 현대자동차가 소형화, 출력밀도 향상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수소연료전지 시스템과 전기자동차(EV) 전용 플랫폼 E-GMP, 의자형 착용로봇 H-CEX 등 로보틱스 기술,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체 등을 둘러보았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