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대표 유정준‧추형욱)가 이산화탄소(CO2) 포집기술 연구개발(R&D)에 나선다.
SK E&S는 6월16일 에너지기술연구원, 씨이텍과 함께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고도화 및 실증·상용화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SK E&S는 대규모 수소 생산과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에 최적화된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개발과 실증,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효율적 연구개발 수행을 위해 에너지기술연구원, 씨이텍과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이산화탄소 포집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은 물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LNG 발전은 친환경 재생에너지의 가동률이 떨어질 때 전력계통에 바로 편입해 전기를 생산해 보완해주는 장점이 있으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SK E&S는 에너지기술연구원, 씨이텍과 손잡고 LNG 발전의 친환경성을 높이는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인 CCS(Carbon Capture & Storage)의 국산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산업 용도로 이용하거나 고부가가치제품으로 전환하는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기술과 CCS 기술의 접목도 추진한다.
SK E&S는 이산화탄소 대량 포집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습식 기술 고도화도 지원할 예정이다.
SK E&S 추형욱 사장은 “CCUS 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노력을 지속해 에너지 분야의 탄소중립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