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3분기 수익성 개선 흐름이 둔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2개월 사이 증권사들의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삼성SDI는 3분기 매출이 3조559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약 15% 증가하고 영업이익도 3452억원으로 약 29% 늘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삼성SDI는 2분기에 최대 매출을 기록했으며 전망치대로 영업실적을 거두었다면 3분기에도 최대 매출 기록을 갱신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2분기에 흑자 전환한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사업이 3분기에도 흑자를 이어가며 전체 영업이익 증가를 이끌었고 소형 전지, 전자소재 사업도 스마트폰 등 전방산업 호조로 크게 선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로 자동차용 배터리 매출 증가 폭이 예상보다 다소 둔화됐으나 일부 매출이 4분기로 이월돼 전반적으로 큰 타격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3분기 영업이익이 1800억-25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GM(제너럴모터스)의 볼트 배터리 리콜 영향 등에 따른 것이며 1800억원대라면 2분기보다 약 75% 급감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GM은 7월에 볼트 6만9000대 리콜을 시행했으며 8월에도 7만여대에 대한 추가 리콜을 발표했다. 리콜 비용은 GM,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이 분담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분기 영업실적에 1차 리콜 비용 910억원의 충당금을 반영했으며 현재 GM과 리콜 비용 분담 비율 등을 협의하고 있어 당초 목표로 했던 3분기 상장이 좌절됐다.
SK이노베이션(SKI)은 배터리 사업 영업적자가 1분기 1767억원, 2분기 979억원이었으며 3분기에는 600억원대로 대폭 축소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사해 10월1일 신설법인 SK온을 출범했으며 2021년 말이나 2022년 초 배터리 사업에서 흑자전환을 실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