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대표 신동빈‧김교현‧이영준‧황진구)이 바이오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환경표지 인증을 받았다.
환경표지는 동일 용도의 경쟁제품에 비해 제조·유통·소비·폐기 등 모든 과정에서 자원·에너지 소비 절약 및 배출물 감소 등 환경성 개선이 인정되는 친환경제품에 부여하는 환경부의 공인 인증이다
롯데케미칼은 바이오 PET가 친환경 원료 사용과 온실가스 저감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내 PET 생산기업 가운데 최초로 환경표지 인증 EL727을 획득했다.
롯데케미칼이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바이오 MEG(Monoethylene Glycol)를 원료로 생산한 바이오 PET는 석유화학 원료 기반의 기존 PET보다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이 28% 적고 기존 PET와 품질은 동일하면서도 재활용·재사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서는 롯데케미칼이 2011년 최초로 바이오 PET를 양산했으며 현재도 세계에서 롯데케미칼을 비롯해 3곳만이 생산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바이오 PET를 통해 3월에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부터 국산 PET 최초로 환경성적표지 인증 EM702을 획득한 바 있다.
5월에는 SPC그룹의 포장재 생산 계열사 SPC팩과 함께 음료 컵과 샐러드 용기 등에 바이오 PET를 적용한 친환경 포장재 개발에 나섰으며 현재 국내외 생수·화장품·음료 용기 소재 등으로 공급처를 확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여수공장의 PET 7만톤 플랜트를 모두 바이오 PET로 전환하고 울산공장에서는 2024년까지는 약 1000억원을 투자해 국내 최초로 CR(Chemical Recycle) PET를 11만톤 상업 생산할 방침이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며 국내외에서 바이오 PET 매출이 늘고 있다”며 “국내 PET 1위 생산기업으로서 바이오 PET 소재 시장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