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이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2년 사이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9% 이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CEO스코어가 500대 대기업 중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 감축 의무가 있는 197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4억5220만톤으로 2018년에 비해 9.3%(4624만톤)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18개 중 13개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였고 6개는 배출량을 10% 이상 낮추었다. 에너지 업종의 감축률이 36%로 가장 높았고 보험, 운송, 공기업, 건설·건자재도 감축률 상위에 올랐다.
반면, 제약을 비롯해 통신, 서비스, 철강, 조선·기계·설비 등 5개 업종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오히려 증가했다.
남동발전, 남부발전 등 발전공기업이 감축량 상위권에 대거 포함됐고, 특히 남동발전과 남부발전은 2018년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1000만톤 이상 줄였다. 민간기업에서는 포스코에너지가 감축량 4위에 올라 유일하게 톱5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현대제철을 비롯해 포스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에쓰오일 등 67사는 인수합병(M&A)과 신·증설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했다.
화학기업 중에서는 SKC가 2018년 71만6470톤에서 2020년 18만7333톤으로 73.9% 줄여 1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KCC가 2018년 166만6733톤에서 2020년 54만737톤으로 67.6%, OCI는 2018년 226만5608톤에서 2020년 125만8064톤으로 44.5% 감축했다.
반면, SK에너지는 2018년 740만8913톤에서 2020년 692만461톤으로 6.6% 감축에 그쳤다.
정부는 최근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률 목표를 기존 2018년 대비 26.3%에서 40%로 확대하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을 확정해 2018년 7억2763만톤이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4억3658만톤으로 감축해야 한다.
2018년 기준 500대 대기업 중 의무신고 대상인 197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가 배출량의 68.5%를 차지했다.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