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대표 이구영‧김희철‧류두형‧김동관‧김은수)이 미국에서 저탄소 폴리실리콘(Polysilicone) 확보에 나서 주목된다.
한화솔루션은 11월18일 미국에서 폴리실리콘 공장 2곳을 가동하고 있는 노르웨이 상장기업 REC실리콘(REC Silicon ASA) 지분 16.67%를 총 1억6047만달러(약 1900억원)에 인수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기존 최대주주인 아커 호라이즌(Aker Horizons)과 동일한 지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며 양사 공동으로 미국에서 생산한 폴리실리콘을 활용해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사업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아커 호라이즌은 노르웨이 투자기업으로 태양광, 풍력, 수소, 이산화탄소(CO2) 포집(CCU)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이 REC실리콘 지분을 인수한 것은 미국산 폴리실리콘으로 만든 태양광 모듈을 공급하기를 원하는 현지 수요기업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REC실리콘은 미국 워싱턴 모지스레이크(Moses Lake)에서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1만8000톤, 몬태나 뷰트(Butte)에서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2000톤 등 모두 2만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모지스레이크 공장은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는 수력발전 베이스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해 탄소 발자국이 남지 않는 폴리실리콘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모지스레이크 공장을 포함해 미국에서 태양광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대부분 공장은 중국이 미국산 폴리실리콘에 반덤핑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사실상 가동을 중단한 상태이다.
한화솔루션은 지분 인수 작업이 완료되고 미국 태양광산업 육성법안인 SEMA(Solar Energy Manufacturing for America Act)가 통과되면 모지스레이크 공장이 이른 시일 안에 재가동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재가동 후에는 미국 현지 모듈 공장 증설을 포함해 태양광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추가 투자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2021년 3.4% 수준인 태양광발전 비중을 2035년까지 최대 40% 이상 늘리겠다고 밝혔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태양광 모듈을 연평균 30-60GW 추가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중국기업들이 저가공세에 나서며 폴리실리콘 가격이 폭락함에 따라 2020년 초 큐셀부문을 통해 영위해온 폴리실리콘 사업에서 철수한 바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