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Isopropyl Alcohol)와 아세톤(Acetone)를 배기가스와 박테리아로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화학·생명공학 교수 마이클 주잇이 이끄는 연구팀은 박테리아 클로스트리듐 아우토에타노게눔(Clostridium Autoethanogenum)을 이용해 배기가스를 아세톤과 IPA로 전환한 연구 결과를 네이처 생명공학(Nature Biotechnology)에 발표했다.
IPA와 아세톤은 글로벌 시장이 100억달러(약 11조9210억원)에 달하며 연료, 직물부터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용도가 다양하지만 석유, 천연
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신기술은 대기로 배출될 오염물질을 포집해 화석연료에서 추출하던 화학물질로 전환한다는 점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대안으로 제시됐다.
연구팀은 클로스트리듐 아우토에타노게눔 박테리아가 유전자 조작을 거친 뒤 가스 발효 과정을 통해 자연 상태에서 생성하지 못하던 아세톤과 IPA를 합성하고 산업규모 예비실험에서도 높은 효율성과 선택성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기술의 전체 과정을 분석한 결과 방출하는 것보다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해 마이너스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CCU) 기술 상당수는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상품으로 전환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실질적 탄소 감소 효과가 없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민간기업 란자테크(LanzaTech)는 보도자료를 통해 신기술이 대기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화석연료 사용을 피함으로써 온실가스를 160% 이상 줄일 수 있으며 탄소제로 경제 달성을 돕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화학물질 대부분이 석유와 천연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에서 추출되고 있어 연구팀의 신기술이 아세톤과 IPA 뿐만 아니라 다른 유용한 화학물질 생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