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olypropylene)는 상승세로 전환됐다.
아시아 PP 시장은 국제유가가 대폭등하고 원료가격이 초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매수요가 위축돼 소폭 상승에 머물렀다.

아시아 PP 시세는 3월1일 CFR FE Asia 기준 라피아(Raffia) 및 인젝션(Injection) 그레이드가 톤당 1165달러, IPP Film 및 BOPP는 1180달러,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는 1190달러로 각각 10달러 상승했다.
반면, CFR SE Asia는 라피아 및 인젝션 1330달러, IPP Film은 및 BOPP는 1345달러, 블록 코폴리머 1350달러로 각각 30달러 급등했다. CFR S Asia도 라피아·인젝션 1480달러, IPP Film 및 BOPP 1500달러, 블록 코폴리머 1520달러로 각각 20달러 상승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국ㅈ[유가가 120달러 수준으로 대폭등하고 프로필렌(Propylene)도 톤당 1200달러 수준으로 초강세를 형성하면서 PP 현물가격을 압박하고 있으나 소용이 없었다.
프로필렌 현물가격은 3월1일 FOB Korea 톤당 1210달러로 35달러 상승했고 CFR China는 1175달러로 30달러 올랐다.
중동기업들이 3월 중국에 공급하는 호모(Homopolymer) 그레이드에 CFR 1140-1190달러를, 베트남에 공급하는 라피아·인젝션 그레이드는 CFR 1310-1350달러를 요구했다.
인디아에 공급하는 호모 그레이드는 CFR 1500달러를, 사우디는 CFR 1460-1470달러를 요구했고 인디아 릴라이언스(Reliance Industries)는 역외물량 공세를 빌미로 kg당 3루피 인상했다.
Fujian Zhongjiang Petrochemical은 Fuqing 소재 PP 35만톤 플랜트를 2월 말부터 정기보수하기 위해 가동을 중단했고, Xuzhou Haitian Petrochemical은 장쑤성(Jiangsu) 소재 20만톤 플랜트를 3월2일부터 정기보수에 들어갔으나 영향이 크지 않았다.
Borouge(Abu Dhabi Polymers)는 아랍에미리트(UAE)의 루와이스(Ruwais) 소재 PP 48만톤 플랜트를 신규 건설했다. Borouge는 PP 생산능력이 총 221만톤에 달하는 세계 최대 메이저 중 하나이고, 폴리올레핀 생산능력도 500만톤에 달하고 있다.
중국 내수가겨은 Yangtze Petrochemical, Jingmen Petrochemical, Fushun Petrochemical이 톤당 8900위안으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는 8600-8900위안 수준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