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대표 민경준)이 차세대 배터리 소재 및 기술을 선보인다.
포스코케미칼은 3월17-19일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2에 참가해 녹색 미래를 위해 열어가는 새로운 시대(The New Chapter for Green Tomorrow) 주제로 225평방미터 전시장에서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배터리 핵심 소재 및 혁신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부스에서는 전기자동차(EV) 주행거리 연장과 안정성 향상을 위해 개발한 소재 혁신기술인 단입자 양극재를 비롯한 하이니켈 양극재, 에너
지 저장용량과 충전 속도를 높이기 위한 천연·인조·저팽창·실리콘 등 음극재 포트폴리오, 전고체전지용 소재 등을 전시하고 있다.
단입자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여러 원료를 하나의 입자구조로 결합함으로써 강도와 열안정성을 높여 배터리 사용수명을 늘린 소재이며 고성능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활용이 늘어나고 있어 시험생산을 완료하고 양산을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전고체전지용 양극재, 리튬메탈 음극재, 전해질 등 포스코 그룹이 개발하고 있는 중장기 기술 로드맵도 공개하고 있다.
전시부스 중앙의 ESG 플랜 존(Plan Zone)에서는 양·음극재 공장의 태양광발전 패널 설치를 통한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와 음극재 공장의 흑연분 자원 재활용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과를 소개하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은 1월 배터리 소재 가운데 처음으로 음극재의 환경성적표지인증을 취득해 음극재 원료 채굴부터 생산에 이르는 사업 전체에 대한 친환경성을 입증한 바 있다.
입체적인 그래픽과 영상 등을 활용해 원료 밸류체인(가치사슬)의 경쟁력도 알리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은 최근 광양시와 양극재 원료인 전구체 투자협약을 체결했으며 포스코 그룹을 통해 양극재 원료인 리튬, 니켈을 확보할 수 있는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음극재 원료는 포스코가 천연흑연 광권을, 포스코케미칼이 중간원료인 구형흑연에 투자하는 한편 인조흑연의 원료인 침상코크스도 직접 생산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