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대표 민경준)이 양극재 핵심 원료인 리튬을 2024년 완전히 자체 조달할 예정이다.
포스코케미칼은 그룹과의 공조를 통해 2024년에 전기자동차(EV) 220만여대 분량인 9만3000톤의 양극재용 리튬을 확보했다.
기존에 추산한 2024년 리튬 필요량 9만1000톤을 뛰어넘는 수준이며 양극재 22만5000톤을 생산할 수 있는 양으로 계획대로 확보하면 포스코케미칼의 리튬 자급률은 10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그룹은 3월23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에서 2만5000톤의 염호 리튬 상용화 공장을 착공했으며 2024년 상반기 준공해 5만톤의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광양 소재 포스코리튬솔루션 광석리튬 공장에서 2023년부터 생산될 예정인 4만3000톤을 더하면 2024년에는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이 9만3000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리튬은 양극재 원료 가운데 사용 비중이 가장 크며 고성능 전기자동차용 양극재 1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약 0.46톤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자동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최근 1년 동안 국제가격이 kg당 84위안(약 1만6000원)에서 473위안(약 9만원)으로 5배 이상 오르는 등 가격 변동 폭이 커져 공급 안정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글로벌 양극재 생산기업 가운데 리튬 광권과 대규모 양산체제를 모두 갖춘 곳은 포스코그룹이 유일하며, 포스코그룹은 양극재 원료의 안정적인 수급은 물론 품질과 수익성을 크게 높여 독보적인 사업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포스코그룹이 생산하는 수산화리튬은 전기자동차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한 하이니켈 양극재에 사용되는 원료로 고성능 전기자동차에 초점을 맞춘 포스코케미칼의 배터리 소재 개발과 시장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그룹은 앞으로도 포스코케미칼의 양극재 투자 계획과 연계해 아르헨티나 염호의 리튬 생산능력을 10만톤까지 늘리는 등 리튬 사업을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원료의 승자가 배터리 소재 사업의 승자가 될 것”이라며 “그룹의 지원으로 확보한 원료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배터리 생산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을 전개해 시장점유율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최근 원료 투자를 통한 사업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양극재의 중간 원료인 전구체를 생산할 수 있는 10만톤 생산기지를 광양에 건설하기로 했으며 음극재의 중간 원료인 구형 흑연과 코팅용 피치 생산을 위한 투자도 추진하고 있다.
또 인조흑연 음극재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자체 생산하는 등 원료 경쟁력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홍인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