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대표 최윤호)가 원통형 배터리에 힘입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삼성SDI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4조49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6.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3223억원으로 142.0%, 당기순이익은 3627억원으로 141.8% 급증했다.
증권가 전망치인 매출액과 3조8035억원, 영업이익 2878억원을 크게 상회했으며 매출액은 사상 최초로 4조원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 및 기타부문은 매출이 3조3190억원으로 39.0%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650억원으로 251.8% 급증했다.
중대형 전지 사업부에서 전기자동차(EV) 배터리 가운데 고부가제품인 Gen5 배터리를 중심으로 판매가 늘어났고 주요 광물 가격을 판매가격에 연동해 원료가격 상승 영향을 최소화한 영향으로 파악된다.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비수기로 외형이 축소됐으나 가정용·무정전전원장치(UPS)용 등 고부가제품 판매비중이 확대돼 수익성을 유지했다.
소형 전지 사업부는 전기자동차와 고출력 전동공구용을 중심으로 원형 배터리 매출이 증가했고 파우치형 배터리도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공급돼 외형성장이 이루어졌다.
전자소재 사업은 매출이 7304억원으로 26.8%, 영업이익은 1573억원으로 82.3% 증가했다. 고부가 편광필름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V 수요가 감소했으나 프리미엄제품 비중이 확대돼 수익성이 개선됐다.
삼성SDI는 2분기에도 영업실적 개선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전기자동차 생산 확대로 Gen5 배터리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차세대 플랫폼인 6세대(Gen6) 배터리 수주 활동을 본격화하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공급망 리스크를 면밀하게 관리해 영향을 최소화하고 ESS는 미주 전력용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소형 전지 사업부는 다양한 전동공구 출시와 전기자동차, 마이크로 모빌리티 수요 증가에 힘입어 원형 배터리 판매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국내외에서 생산라인 증설에 돌입했다.
전자소재 사업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반도체 소재를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OLED 소재는 주요 수요기업의 신규 플랫폼에 대한 공급이 시작되고 반도체 소재는 시장점유율 확대를 통해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