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일뱅크(대표 강달호‧주영민)가 최근 준공한 대산 HPC(Heavy Feed Petrochemical Complex)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친환경 사업 강화에 나선다.
태양광 패널 소재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비롯해 기초소재와 에너지 소재, 2차전지 소재와 바이오 소재 등 친환경 화학소재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먼저 최근 탄소중립, 에너지 대란 등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공략을 강화하기 위해 HPC 준공을 통해 태양광 패널의 핵심 소재인 EVA 생산능력을 단일 생산라인 기준 국내 최대인 30만톤으로 확대했다.
대산 HPC는 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의 합작기업인 현대케미칼이 3조원 이상을 투자한 초대형 석유화학 프로젝트로 에틸렌(Ethylene) 85만톤, 프로필렌(Propylene) 50만톤을 생산할 수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HPC를 활용한 플래스틱 순환경제 구축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LG생활건강, 롯데케미칼과 함께 친환경 플래스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사업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친환경 플래스틱 설비 증설도 계획하고 있다.
3사는 폐플래스틱 열분해유를 100% 활용한 친환경 플래스틱을 출시해 LG생활건강 화장품을 담는 친환경 용기를 양산하고 세제나 생활용품 용기 등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현대케미칼은 폐플래스틱 열분해유를 기존 공정의 원료로 도입해 친환경 플래스틱을 제조하는 역할을 맡고 롯데케미칼은 현대케미칼이 만든 친환경 플래스틱을 가공제품별 특성에 맞게 최적화하고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신제품군을 개발하는 역할을, LG생활건강은 친환경 플래스틱을 납품받아 친환경 용기를 양산할 방침이다.
폐플래스틱 열분해유는 폐비닐 등을 무산소 조건에서 가열해 만든 원유 성상의 기름으로 폐플래스틱을 소각하지 않고 다시 플래스틱의 원료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매우 크다.
현대케미칼은 기존 정유·석유화학 공정을 활용해 최대 3만톤의 폐플래스틱 열분해유를 처리해 친환경 플래스틱을 생산할 수 있으며 추후 생산능력을 10만톤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밖에 바이오 플래스틱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미국 대니머 사이언티픽(Danimer Scientific)과 바이오 플래스틱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바이오 플래스틱 연구개발(R&D), 마케팅, 제조 등에 있어 폭넓은 협력을 약속했으며 바이오 플래스틱을 적용한 신규 고부가 활용처를 개발하고 아시아 수요에 대응, 생산설비 투자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2024년까지 국내 파일럿 공장을 가동하고 2030년까지 상업 플랜트를 가동해 판매를 확대하기로 했다.
현대오일뱅크는 기존 정유·석유화학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화이트 바이오와 친환경 화학·소재 사업 등 친환경 에너지 플랫폼으로 전환을 통해 최근의 글로벌 경기 침체와 에너지 대전환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