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이 사상 처음 20조원을 돌파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바이오산업의 생산·수출입·고용·투자현황 등을 조사해 발표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은 20조9983억원으로 전년대비 22.1% 증가했다.
바이오산업 생산은 2017년 10조1457억원으로 10조원을 처음 돌파했고 2018년 10조6067억원, 2019년 12조6586억원, 2020년 17조4923억원에 이어 2021년 20조원까지 상회함으로써 5년간 연평균 19.9%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바이오의약 비중이 27.8%로 가장 컸으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의 영향으로 체외진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바이오의료기기 비중이 25.1%까지 확대됐고 바이오서비스(바이오 위탁생산 및 바이오분석)와 바이오화학·에너지(바이오연료‧농약‧화장품)는 각각 12.3%, 13.1%로 확대됐다.
바이오 수출은 11조8598억원으로 18.0% 증가했다. 2020년 10조158억원으로 10조원을 처음 넘은데 이어 1년만에 11조원까지 뛰어넘었다.
특히, 체외진단기기 수출 증대로 바이오의료기기 수출액이 39.0% 늘면서 비중이 1년만에 30.2%에서 35.6%로 대폭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수입은 4조7692억원으로 96.2% 급증했다. 코로나19 백신 수입 영향으로 바이오의약이 120.3% 폭증했고 바이오화학·에너지와 바이오의료기기 역시 43.2%, 23.2% 증가했다.
바이오산업 성장세에 힘입어 바이오 분야 고용 인력은 5만5618명으로 6.4% 증가했다.
총투자비는 3조679원으로 10.0% 증가했고 시설투자비 증가율이 12.6%로 연구개발(R&D)비 증가율 9.1%보다 높게 나타났다.
박동일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산업은 코로나 선제 대응을 계기로 크게 도약했다”며 “성장 모멘텀을 이어나가기 위해 기존 산업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치료제, 첨단바이오, 합성생물학과 같은 미래 먹거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