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계 최고 품질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을 목표로 233억원의 연구개발(R&D) 과제를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월28일 고성능 LFP 양극재, 전해액, 셀 제조기술 개발 사업의 수행기관을 확정했으며 민·관이 함께 2026년까지 4년 동안 233억원(정부 164억원 및 민간 6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LFP 배터리는 가격적인 이점에도 불구하고 낮은 에너지밀도와 짧은 주행거리 등으로 한계가 명확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나 최근 성능이 개선됐을 뿐만 아니라 핵심 광물 가격이 급등하는 상황에서 니켈·코발트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2020년 16%에 불과하던 점유율이 2022년 35%까지 상승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6년 양산을 목표로 미국 애리조나에 세계 최초 ESS(에너지저장장치) 전용 LFP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며, SK온은 2023년 3월 인터배터리 전시회를 통해 자동차용 LFP 배터리 시제품을 최초 공개한 바 있다.
정부는 LFP 배터리 연구 사업을 본격 시작해 국내기업들의 기술 개발과 경쟁력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4월20일 국가전략회의에서 LFP 배터리에서도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배터리 전제품의 글로벌 시장 석권을 위한 민·관의 대응 노력을 발표한 바 있다.
프로젝트의 2가지 주요 목표는 LFP 배터리 양극재 국산화와 세계 최고 에너지밀도를 가진 LFP 배터리 셀 제조기술 개발이다.
특히, 현재 kg당 160Wh인 에너지밀도를 200Wh로 높인 신제품 개발에 나설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기존보다 양극 전극을 두껍게 만들어 최대한 많은 리튬 이온들이 셀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고 두꺼워진 양극 전극이 리튬 이온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약하지 않도록 적합한 전해질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삼성SDI, 쉐메카(배터리), 에코프로비엠(양극재), 동화일렉트로라이트(전해질), 씨아이에스(장비) 등 주요기업들이 참여하고 경기대·서강대·서울과학기술대·성균관대·아주대·한양대 등 학계, 세라믹기술원·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화학연구원 등 연구기관도 참여해 참여기업들의 신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기업들이 현재 기술보다 높은 수준의 LFP 배터리 기술 개발에 성공한다면 배터리 전 품목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배터리 생산기업 뿐만 아니라 소재·장비 생산기업 등이 모두 참여한다”며 “앞으로 모든 밸류체인이 참여하는 프로젝트를 확대해 소부장부터 완제품까지 글로벌 시장 석권이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