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대표 김준형)이 포항에 2차전지 소재 투자를 확대한다.
포스코퓨처엠은 5월3일 경상북도 포항시청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화유코발트(Huayou Cobalt)와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세계 최대 코발트 생산기업인 화유코발트와 합작기업을 설립해 2027년까지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26만7702평방미터 부지에 1조2000억원을 들여 전구체와 고순도 니켈 원료 공장을 건설한다.
전구체는 니켈·코발트·망간 등의 원료를 가공해 생산하는 2차전지 양극재의 중간 소재이고, 니켈은 2차전지 에너지 저장 밀도를 결정하는 소재로 전구체 원료 가운데 사용 비중이 가장 높다.
포스코퓨처엠은 원료 조달에 강점이 있는 화유코발트와의 니켈·전구체 투자를 통해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에 건설하고 있는 생산능력 10만6000톤의 양극재 공장과 연계한 니켈-전구체-양극재 밸류체인 클러스터를 완성할 계획이다.
현재 10만5000톤인 양극재 양산능력을 2030년까지 61만톤으로 크게 확대할 예정이며 전구체 생산능력도 1만50000톤에서 44만톤으로 대폭 확대해 자체 생산비율을 14%에서 73%로 높일 방침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자동차(EV) 시장 성장에 따른 음극재 수요 증가에도 대응해 생산능력을 2030년 32만톤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세종공장에서 천연흑연 7만4000톤, 포항공장에서 인조흑연 8000톤의 음극재를 양산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포항 블루밸리 산업단지 19만9720평방미터 부지에 약 5000억원을 투입해 음극재 공장도 추가로 지을 예정이다.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모두 생산하기 위해 원료부터 최종제품 생산까지 고도화해 수요기업의 요청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선도하고 있는 포항에 배터리 소재 투자를 지속 확대해 K-배터리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