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대표 지동섭·최재원)은 포드(Ford)와의 협력에 균열이 나타나고 있다.
포드는 5월22일(현지시간)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전기자동차(EV) 부품 제조에 필요한 핵심 광물인 리튬과 니켈의 중장기 공급 계획을 발표했으나 SK온은 포드의 자체 원자재 조달 계획 발표에 다소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포드에 따르면, 세계 1·2위 리튬 생산기업인 미국 알버말(Albemarle)과 칠레 SQM(Sociedad Quimica y Minera de Chile)이 2026년부터 2030년까지 포드에 전기자동차 배터리 300만개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의 배터리 그레이드 수산화리튬 10만톤을 공급하기로 했다.
포드가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필요한 양극재 핵심 원자재인 리튬과 니켈을 직접 구매해 수익성을 확대하고 전기자동차 원가 경쟁력을 갖추고자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포드는 SK온과 만든 합작기업 블루오벌SK를 통해 미국 켄터키 2곳, 테네시 1곳 등 3곳의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어 블루오벌SK 공장에도 포드 측 공급망을 통해 원료를 조달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블루오벌SK는 배터리 생산 능력이 총 129GWh에 달하며 포드가 구체적인 원료 공급 대상이나 물량 등은 밝히지 않았으나 배터리 생산기업들과 협력해 건설하는 공장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SK온은 블루오벌SK에 대한 원자재 공급 계획을 포드 측과 협의한 사실이 없다는 입장이다.
SK온 관계자는 “포드의 공급 계획 전체를 알 수는 없으나 블루오벌SK에 대한 공급 계획에 대해 SK온에서는 협의 내지 합의한 사실이 없다”고 밝히며 “블루오벌SK의 원료 소싱은 품질이 검증된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포드와 SK온 양사가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포드는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튀르키예(터키)에 배터리 25GWh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며 중국 CATL과도 미국 미시간에 35GWh 공장을 지을 예정이다. (윤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