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AS(Polyfluoroalkyl Substance)는 글로벌 규제에 대한 대응책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유럽연합(EU)의 PFAS 사용 제한 움직임과 관련한 산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PFAS는 탄소와 불소가 결합한 유기화학물질로 열에 강하고 물이나 기름을 막는 특성을 가져 산업 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쉽게 분해되지 않고 인체와 환경에 축적되는 등 유해성이 우려돼 독일, 네덜란드 등 5개국은 유럽화학물질청(ECHA)에 사용 규제를 제안한 바 있다.
유럽화학물질청은 2023년 9월까지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며 2025년 사용 제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유럽화학물질청이 공개한 PFAS 사용 규제 제안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담은 동향 보고서를 5월 발간해 산업계와 관련 정보를 공유하면서 6월 중 간담회 개최를 예고한 바 있다.
산업부는 간담회를 통해 현재 EU의 제한 조치 동향과 장래 절차 및 국내 산업계의 PFAS 활용 상황 및 대체물질 개발 현황 등을 공유했다.
참석한 관련기업 및 단체는 산업부에 자세한 정보 제공을 요구하고 대체물질 개발 및 컨설팅에 대한 지원도 요청했다.
산업부는 6월 말로 예정된 세미나를 통해 EU와 미국의 PFAS 규제 동향을 산업계에 전파하고 7월 안에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보고서를 추가로 제공할 방침이며 필요하면 관련기업에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고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개발·기획을 검토할 예정이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점차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에 한국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해 수출경쟁력을 잃지 않도록 관련 산업계와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앞으로 규제가 구체화되면 공식 소통창구를 통해 EU에 정부 입장을 정리해 전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윤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