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중국과 포항에 니켈, 전구체 공장을 건설한다.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은 6월21일 중국 CNGR과 2차전지용 니켈 및 전구체 생산을 위한 합작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투자금은 총 1조5000억원이며 포스코홀딩스와 CNGR은 6대4로 니켈 정제법인을 설립해 황산니켈 5만톤을 생산하고, 포스코퓨처엠과 CNGR은 2대8로 전구체 생산법인을 설립해 전구체 11만톤을 생산할 예정이다.
2개 합작법인 공장은 4분기 포항시 영일만 4산업단지에서 착공하며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CNGR은 글로벌 전구체 시장점유율 1위이며, 포스코그룹은 CNGR의 니켈 정제 및 전구체 생산기술을 바탕으로 한 합작법인의 생산 효율 극대화를 기대하고 있다.
또 국내 생산 비중이 약 13%에 불과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전구체를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어 포스코퓨처엠의 사업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은 “글로벌 전구체 선두기업 CNGR과 합작해 포항에 니켈-전구체-양극재 밸류체인을 완성함으로써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하고 사업 간 시너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그룹은 배터리 소재 계열사 포스코퓨처엠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 LG에너지솔루션과 GM(제너럴모터스) 배터리 합작기업인 얼티엄셀즈(Ultium Cells) 등으로부터 100조원 이상의 양극재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해 주요 광물과 전구체 등 중간재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다.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배터리용 핵심광물 단계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있어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로 생산지를 조정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다양한 환경 변화 속에서 시장 선점을 위해 리튬, 니켈 등 원료부터 양극재·음극재, 재활용 및 차세대 소재 등 2차전지 소재 관련 모든 밸류체인을 적극 구축하고 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