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들이 오만에서 그린수소 독점 사업권을 확보했다.
포스코홀딩스(대표 최정우)와 삼성엔지니어링(대표 남궁홍) 등 국내기업들이 주도하고 3개국 6개사로 구성된 국제 컨소시엄은 6월21일(현지시간) 오만 수도 무스카트(Muscat)에서 오만 정부가 설립한 하이드롬(Hydrom)과 두쿰(Duqm) 그린수소 독점 사업 개발·생산 및 부지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컨소시엄에는 포스코홀딩스, 삼성엔지니어링,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프랑스 엔지(ENGIE), 타이 PTTEP가 참여하고 있다.
지분율은 포스코홀딩스가 28%로 가장 많고, 엔지 25%, 삼성엔지니어링 12%, 한국남부발전 12%, 한국동서발전 12%, PTTEP 11% 순으로 국내기업 4사가 64%를 보유하고 있다.
사업 부지 면적은 340평방킬로미터로 서울시 면적의 약 절반에 달하며 참여사는 무스카트에서 남서쪽으로 약 450킬로미터 떨어진 알우스타주(Al Wusta) 두쿰 지역에서 앞으로 47년간 그린수소를 독점 개발·생산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컨소시엄은 5GW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와 수소 생산 플랜트를 건설해 수전해 방식으로 그린수소 약 22만톤을 생산할 계획이며 국내기업들이 해외에서 추진하는 그린수소 사업으로는 최대 수준으로 평가된다.
그린수소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한 전기로 물을 분해해 탄소 배출을 하지 않고 만든 청정수소를 뜻한다.
컨소시엄은 현지에 암모니아(Ammonia) 합성 플랜트도 함께 건설해 생산된 그린수소를 효율적 운송 차원에서 다시 암모니아로 전환해 국내로 옮긴 다음 수소환원제철과 청정 무탄소 전력 생산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발전소, 수소 생산 플랜트, 암모니아 합성 플랜트는 2027년 착공해 2030년 준공할 예정이며 수조원대로 추산되는 전체 사업비는 앞으로 사업 타당성 검토를 거쳐 확정한다. (윤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