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렌(Propylene)은 소폭 상승했다.
아시아 프로필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73달러대 후반으로 폭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가동중단이 잇따르면서 상승 전환했다.

프로필렌 시세는 6월23일 FOB Korea가 톤당 705달러로 5달러 상승했으나 CFR SE Asia는 755달러로 보합세를 형성했다. CFR China는 745달러로 10달러, CFR Taiwan은 740달러로 10달러 올랐다.
반면, 유럽은 폴리머 그레이드가 CIF NWE 톤당 495유로로 70유로, 케미칼 그레이드도 495유로로 70유로 폭락했다.
국제유가가 6월23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73.85달러로 3달러 가까이 폭락하고 나프타(Naphtha) 역시 C&F Japan 톤당 500달러로 38달러 폭락했음에도 스팀 크래커들이 잇따라 가동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여천NCC는 6월23일 기술적 문제를 이유로 여수 소재 No.1 프로필렌 45만톤 크래커 가동을 중단했고, LG화학도 수익성 악화에 따라 6월26일 여수 소재 No.2 크래커 가동을 중단했다.
여천NCC는 6월23일 가동을 중단한 No.3 프로필렌 27만톤 크래커는 재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PetroChina Lanzhou Petrochemical은 6월13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간쑤성(Gansu) 소재 No.1 프로필렌 12만5000톤 크래커를 8월2일 재가동할 예정이다.
포모사석유화학(Formosa Petrochemical)은 6월26일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3 프로필렌 60만톤 크래커 정기보수에 들어갔다. 정기보수가 끝나도 8-9월경으로 재가동 일정을 연기할 것으로 알려졌다.
싱가폴 PCS(Petrochemical corp. of Singapore)도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프로필렌 생산능력 20만톤의 OCU (Olefin Conversion Unit) 가동률을 7월 중순까지 감축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