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차세대 2차전지 민관 협의체를 출범했다.
7월13일 출범식에는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관련기업, 한국 배터리산업협회, 한국 전기화학회, 한국 공업화학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등 학계와 연구계 관계자를 포함해 100여명이 참석했다.
협의체는 각계 소통과 교류를 통해 정부의 2차전지 연구개발(R&D) 정책·사업에 민간의 수요와 의견을 상식적으로 반영하는 역할을 맡으며 신규 사업 기획과 정책·사업 계획 공유, 성과 교류, 전문인력 양성, 국제 협력 기반 조성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이종호 장관은 “최근 IT 융복합, 전동화 추세로 가전과 전기자동차(EV) 등 일상 뿐만 아니라 산업 전 분야에서 배터리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차세대 2차전지 민관 협의체 출범을 계기로 정부와 산업계, 학계, 연구계의 주요 기관이 함께 상시적이고 지속적으로 협력해 2030년 차세대 배터리 1등 실현 시기를 앞당길 수 있기를 바라며 정부도 전략적으로 R&D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출범식장 주변에는 한국화학연구원의 고에너지밀도 LiB(리튬이온전지) 핵심 소재 기술,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초고안정성 전고체전지 핵심기술 개발 및 대면적 전고체전지 기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전기자동차용 전고체전지 성능 향상 혁신 기술 등 정부가 지원한 2차전지 연구개발 성과가 전시됐다.
아울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차세대 2차전지 R&D 추진 방향을 소개하고 선양국 한양대 교수가 차세대 2차전지 관련 발표, 손권남 LG에너지솔루션 차세대 전지 개발센터장의 차세대 배터리 개발 현황 발표가 진행됐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