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C(대표 박원철)는 화학 사업에서 적자를 기록했다.
SKC는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630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6.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369억원, 순손실 역시 마이너스 248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화학 부문과 2차전지용 동박, 반도체 소재 등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SK피아이씨글로벌과 SK피유코어 등 화학 사업은 매출이 3617억원으로 11.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96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SM(Styrene Monomer)은 중국 내수 공급이 증가하면서 약세가 계속되고 있으며 PG(Propylene Glycol)는 글로벌 수요 회복 지연과 공급경쟁 심화로 판매가 감소했다.
SKC는 하반기에 PG 판매 확대를 위해 글로벌 물류 포스트를 8곳으로 늘리는 등 현지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SK넥실리스의 동박을 중심으로 한 배터리 소재 사업은 매출이 1796억원으로 10.0%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4억원으로 98.6% 격감했다.
SKC 관계자는 “2차전지용 동박 사업은 전기자동차(EV) 신차 출시가 줄어드는 등 계절적 비수기 영향이 있었고 전력비 인상 등의 요인으로 원가 부담이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설명했다.
SK넥실리스는 하반기에 신규 중장기 계약 등을 통해 글로벌 주요 수요기업을 15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반도체 소재는 매출이 820억원으로 39.5%, 영업이익은 53억원으로 15.9% 감소했다. 업황 악화로 주요 수요기업들이 감산에 돌입하면서 가동률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SKC는 반도체 소재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3분기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기업 ISC 인수를 완료해 후공정 핵심 소모품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다.
후공정 분야에서 추가 인수합병(M&A)을 검토하고 있으며 SK앱솔릭스를 통해서는 2023년 안에 미국 조지아 공장을 완공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을 신청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
SKC는 생분해성 플래스틱 소재 사업에서 글로벌 시장 ㅈ;ㄴ츨을 염두에 두고 대규모 생산설비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실리콘(Silicone) 음극재 사업도 조기 상업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2023년 6월 코팅형 저함량 그레이드 사업을 위한 자회사 설립을 완료하고 파일럿 설비 건설을 시작했다.
한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사업 자회사 SK피유코어 매각 추진은 시황 악화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윤우성 기자)